■ 〈한국문학의 재발견―작고문인선집〉을 펴내며
한국현대문학은 지난 백여 년 동안 상당한 문학적 축적을 이루었다. 한국의 근대사는 새로운 문학의 씨가 싹을 틔워 성장하고 좋은 결실을 맺기에는 너무나 가혹한 난세였지만, 한국현대문학은 많은 꽃을 피웠고 괄목할 만한 결실을 축적했다. 뿐만 아니라 스스로의 힘으로 시대정신과 문화의 중심에 서서 한편으로 시대의 어둠에 항거했고 또 한편으로는 시대의 아픔을 위무해왔다.
이제 한국현대문학사는 한눈으로 대중할 수 없는 당당하고 커다란 흐름이 되었다. 백여 년의 세월은 그것을 뒤돌아보는 것조차 점점 어렵게 만들며, 엄청난 양적인 팽창은 보존과 기억의 영역 밖으로 넘쳐나고 있다. 그리하여 문학사의 주류를 형성하는 일부 시인·작가들의 작품을 제외한 나머지 많은 문학적 유산들은 자칫 일실의 위험에 처해 있는 것처럼 보인다.
물론 문학사적 선택의 폭은 세월이 흐르면서 점점 좁아질 수밖에 없고, 보편적 의의를 지니지 못한 작품들은 망각의 뒤편으로 사라지는 것이 순리다. 그러나 아주 없어져서는 안 된다. 그것들은 그것들 나름대로 소중한 문학적 유물이다. 그것들은 미래의 새로운 문학의 씨앗을 품고 있을 수도 있고, 새로운 창조의 촉매 기능을 숨기고 있을 수도 있다. 단지 유의미한 과거라는 차원에서 그것들은 잘 정리되고 보존되어야 한다. 월북 작가들의 작품도 마찬가지이다. 기존 문학사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된 작가들을 주목하다보니 자연히 월북 작가들이 다수 포함되었다. 그러나 월북 작가들의 월북 후 작품들은 그것을 산출한 특수한 시대적 상황의 고려 위에서 분별 있게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당위적 인식이, 2006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문학소위원회에서 정식으로 논의되었다. 그 결과, 한국의 문화예술의 바탕을 공고히 하기 위한 공적 작업의 일환으로, 문학사의 변두리에 방치되어 있다시피 한 한국문학의 유산들을 체계적으로 정리, 보존하기로 결정되었다. 그리고 작업의 과정에서 새로운 의미나 새로운 자료가 재발견될 가능성도 예측되었다. 그러나 방대한 문학적 유산을 정리하고 보존하는 것은 시간과 경비와 품이 많이 드는 어려운 일이다. 최초로 이 선집을 구상하고 기획하고 실천에 옮겼던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위원들과 담당자들, 그리고 문학적 안목과 학문적 성실성을 갖고 참여해준 연구자들, 또 문학출판의 권위와 경륜을 바탕으로 출판을 맡아준 현대문학사가 있었기에 이 어려운 일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런 사업을 해낼 수 있을 만큼 우리의 문화적 역량이 성장했다는 뿌듯함도 느낀다.
<한국문학의 재발견―작고문인선집>은 한국현대문학의 내일을 위해서 한국현대문학의 어제를 잘 보관해둘 수 있는 공간으로서 마련된 것이다. 문인이나 문학연구자들뿐만 아니라 더 많은 사람들이 이 공간에서 시대를 달리하며 새로운 의미와 가치를 발견하기를 기대해본다.
2013년 4월
출판위원 김인환, 이숭원, 강진호, 김동식
보은報恩 편 1. 상선 태양환 | 2. 해당화 | 3. 고소장 | 4. 암흑의 사자 | 5. 운명의 기로 | 6. 가면의 악마 | 7. 해상 감옥 | 8. 숨은 애국자 | 9. 우월 대사 | 10. 원수의 정체 | 11. 대사의 유언 | 12. 탈옥 | 13. 진주도 | 14. 유언 집행자 | 15. 부침浮沈 | 16. 이십만 원의 채권 | 17. 비운 | 18. 복수의 맹세 | 19. 진주도 주인 | 20. 백진주 선생 | 21. 상해의 성탄제 | 22. 암흑가의 왕자 | 23. 인류애의 실천자 | 25. 송춘식 부인 | 25. 기적 | 26. 유령의 집 | 27. 사생아 | 28. 호궁의 여인 | 29. 무제한 대출 | 30. 호화로운 선물 | 31. 유 검사정 | 32. 행복한 가정 | 33. 춘앵의 원수 복수復讐 편 34. 복수도 | 35. 속 복수도 | 36. 노혁명가 | 37. 복수극의 서막 | 38. 영아의 백골 | 39. 가정불화 | 40. 무서운 증거 | 41. 강적 유동운 | 42. 변장한 사람들 | 43. 만찬회의 밤 | 44. 백의의 유령 | 45. 독살 | 46. 비밀 서류 | 47. 암살의 진상 | 48. 배신자 | 49. 결투의 조건 | 50. 살인귀 | 51. 괴한 | 52. 신의神意 | 53. 아미성 참극 | 54. 어여쁜 증인 | 55. 은인이냐 적이냐 | 56. 아아, 이 모욕! | 57. 봉룡과 옥분 | 58. 결투의 결말 | 59. 자살 | 60. 누일적 혈천적 | 61. 탈옥수 | 62. 체포 | 63. 세 사람의 고발자 | 64. 기적의 정체 | 65. 사형과 독약 | 66. 운명의 공판정 | 67. 속죄 | 68. 회고의 항구 | 69. 희망의 수평선 해설 - 제국의 상상력에 대한 통쾌한 복수 · 박진영
■ 지은이 : 김내성
1909년 평안남도 대동大同에서 태어났다. 평양 공립 고등 보통학교를 마친 뒤 일본에 유학하여 와세다 대학早稻田大學 법학부 독법학과獨法學科를 졸업했다. 대학 재학 시절부터 추리 소설 전문지에 단편소설과 평론을 발표하여 일본 문단의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귀국 후 한국 최초의 추리소설 전문 작가로 활약하면서 『백가면』과 『황금 굴』 등의 소년 모험 소설과 본격적인 추리소설 분야를 개척했다. 특히 1939년 장편 연재소설 『마인』이 선풍적인 인기를 끌면서 추리소설 전문 작가로서 독보적인 자리를 굳히며 명성을 날렸다. 그 밖에도 이든 필포츠의 대표작 『홍두 레드메인 일가』를 번역하여 출간했으며, 장편소설 『태풍』을 발표했다. 『마인』과 『태풍』에서 선보인 주인공 ‘유불란’은 한국의 명탐정을 일컫는 대명사로 자리 잡았다. 해방 직후에는 『똘똘이의 모험』과 『진주탑』을 비롯한 라디오 연속극으로 큰 인기를 끌었으며, 아서 코난 도일의 소설 선집 『심야의 공포』와 모리스 르블랑의 『보굴왕』, 에밀 가보리오의 『마심 불심』 등 장편 번안 소설을 잇달아 출간했다. 창작 소설집으로 『광상 시인』『행복의 위치』『비밀의 문』『부부 일기』『괴기의 화첩』이 있다. 한편 1950년대에는 『청춘 극장』『인생 화보』『백조의 곡』『사상의 장미』『애인』 등 대중적인 장편 소설로 큰 갈채를 받았으며, 『검은 별』과 『쌍무지개 뜨는 언덕』 등은 청소년 독자들의 꾸준한 사랑을 받았다. 김내성의 장편소설들은 대부분 영화 및 라디오나 텔레비전 방송극으로 제작되어 큰 호평을 얻었다.?1957년 『실낙원의 별』을 연재하던 도중 타계했다.
■ 엮은이 : 박진영
연세대학교 화학과를 졸업한 뒤 같은 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1910년대의 시대정신을 적극적으로 재조명하면서 『불여귀』『한국의 번안 소설』(전 10권),『번안 소설어 사전』『신문관 번역 소설 전집』 등을 펴냈으며, 번안 소설의 역사와 근대 소설의 언어에 대해 탐구하는 박사 학위 논문을 준비하고 있다. 빼어난 대중 소설이면서도 그동안 문학사에서 제대로 평가 받지 못한 작품들을 발굴하여 비평적 정본으로 복원하는 일에 힘을 쏟고 있고, 근대 사회의 대중 문예와 독자층 형성의 역사 등으로 연구 영역을 차차 넓혀 가고 있다. 앞으로는 『김내성 추리 문학 전집』의 발간에도 공을 들일 계획이다. bookgram@naver.com
한국 최초의 추리소설 전문 작가 김내성, 그의 번안 소설 『진주탑』이 <한국문학의 재발견-작고문인선집> 시리즈로 현대문학에서 출간되었다. 아름다운 약혼녀와 함께 장밋빛 인생을 꿈꾸던 한 청년이 모함으로 인해 모든 것을 잃고 감옥으로 끌려 들어가 구사일생으로 탈출해 복수를 한다는 내용의 소설 『진주탑』은 뒤마의 『몽테크리스토 백작』을 3·1 운동 전후의 식민지 조선으로 배경을 옮겨와 한국적 정서에 맞게 번안한 작품이다. 이 작품은 해방 후 라디오 연속극으로 먼저 제작되어 큰 인기를 누렸으며, 이후에도 영화와 드라마로 리메이크 되며 꾸준하게 대중들의 사랑을 받아왔다. 『진주탑』의 성공 이후 김내성은 『마인』『태풍』등의 장편 추리소설과 해외 유명 추리소설을 번역해 발표하며 대중 작가로서 독자들의 사랑을 받았다. 김내성은 한국에선 보기 드문 탐정 소설 전문 작가이자, 그의 작품 때문에 종이 값이 올랐다는 기록이 있을 만큼 초대형 베스트셀러 작가였다. 하지만, 그의 이름은 우리 문학사 어디에도 올라 있지 않으며, 그에 대한 연구 역시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 장르문학에 대한 인식이 전무했던 시절, 추리소설이라는 미지의 영역에 전문적인 작가 의식을 갖고 활동을 해온 이에게 지금까지 우리는 제대로 된 대접을 하지 않은 것이다. 아무리 추리소설이 한국 문학의 주변부로 밀려났다 하더라도 소설뿐 아니라 영화와 드라마, 악극 등 다양한 경로로 여러 세대를 아우르는 작품 활동을 해온 작가에게 이는 지나친 외면과 냉대라 할 수 있다. 이제 추리소설은 더 이상 문학의 비주류가 아니다. 해마다 여름이 되면 엄청난 양의 작품이 쏟아져 나와 베스트셀러 상위에 랭크되어 있고 독자들은 그 사이에서 행복한 비명을 지르고 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대부분 외국의 번역 소설들일 뿐, 국내 작가들의 작품은 몇 안 되는 것이 현실이다. 문학적으로 취약한 기반과 그동안의 냉대로 인해 깊이와 대중성을 갖춘 좋은 작품이 나오기 힘든 여건 때문일 것이다. 지금 우리가 김내성의 소설을 다시 읽어야 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2009년은 김내성이 태어난 지 백 년이 되는 해다. 『진주탑』의 복원을 실마리 삼아 그의 작품이 새로운 시각에서 다시 읽고 즐길 수 있는 우리 시대의 문학 가운데 하나로 만날 수 있기를, 그래서 취약한 기반을 가진 국내 장르 문학에 힘이 되어줄 수 있기를 바란다. 이제 다채로운 작품 활동으로 여러 세대 및 계층의 감수성과 호흡을 같이한 보기 드문 작가 김내성, 대중 작가라는 낙인 아래 폄하된 그의 문학을 만나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