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학의 재발견―작고문인선집>을 펴내며
한국현대문학은 지난 백여 년 동안 상당한 문학적 축적을 이루었다. 한국의 근대사는 새로운 문학의 씨가 뿌리를 내리고 성장하고 좋은 결실을 맺기에는 너무나 가혹한 난세였지만, 한국현대문학은 많은 꽃을 피웠고 괄목할 만한 결실을 축적했다. 뿐만 아니라 스스로의 힘으로 시대정신과 문화의 중심에 서서 한편으로 시대의 어둠에 항거했고 또 한편으로는 시대의 아픔을 위무해왔다.
이제 한국현대문학사는 한눈으로 대중할 수 없는 당당하고 커다란 흐름이 되었다. 백여 년이란 긴 세월은 뒤돌아보는 것을 점점 어렵게 만들며, 엄청난 양적인 팽창은 보존과 기억의 영역 밖으로 넘쳐나고 있다. 그리하여 문학사의 주류를 형성하는 일부 시인 작가와 그들의 작품들을 제외한 나머지 많은 문학적 유산들은 자칫 일실의 위험에 처해 있는 것처럼 보인다.
물론 문학사적 선택의 폭은 세월이 흐르면서 점점 좁아질 수밖에 없고, 시대적 의의를 지니지 못한 작품들은 망각의 뒤편으로 사라지는 것이 순리다. 그러나 아주 없어져서는 안 된다. 그것들은 그것들 나름대로 소중한 문학적 유물이다. 그것들은 미래의 새로운 문학의 씨앗을 품고 있을 수도 있고, 새로운 창조의 촉매 기능을 숨기고 있을 수도 있다. 그런가 하면 미래의 새로운 문학사에서 화려하게 부활할지도 모른다. 다만 유의미한 과거라는 차원에서라도 그것들은 잘 정리되고 보존되어야 한다.
이러한 당위적 인식이, 2006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문학소위원회에서 정식으로 논의되었다. 그 결과, 한국의 문화예술의 바탕을 공고히 하기 위한 공적 작업의 일환으로, 문학사의 변두리에 방치되어 있다시피 한 한국문학의 유산들을 체계적으로 정리, 보존하기로 결정되었다. 그리고 작업의 과정에서 새로운 의미나 새로운 자료가 재발견될 가능성도 예측되었다.
그러나 방대한 문학적 유산을 정리하고 보존하는 것은 시간과 경비와 품이 많이 드는 어려운 일이다. 최초로 이 선집을 구상하고 기획하고 실천에 옮겼던 문화예술위원회의 위원선생님들과 담당자들, 그리고 문학적 안목과 실사적 성실성을 갖고 참여해준 연구자들, 또 문학출판의 권위와 경륜을 바탕으로 출판을 맡아준 현대문학사가 있었기에 이 어려운 일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런 사업을 이런 수준에서 해낼 수 있을 만큼 우리의 문화적 역량이 성장했다는 뿌듯함도 느낀다.
<한국문학의 재발견-작고문인선집>은 한국현대문학의 내일을 위해서 한국현대문학의 어제를 잘 보관해둘 수 있는 공간으로써 마련된 것이다. 문인이나 문학연구자들뿐만 아니라 보다 많은 사람들이 이 공간에서 시대를 달리하며 새로운 의미와 가치를 발견하기를 기대해본다.
2010년 4월
출판위원 염무웅, 이남호, 강진호, 방민호
흘러간 마을
파산선고破産宣告
지옥탈출地獄脫出
출범전후出帆前後
그대의 힘은 약하다-P군의 최근상最近相
숭어
허물어진 미련탑未練塔
안개 속의 춘삼春三이
번견番犬 탈출기
새벽바다
과세過歲
길
여우지망자女優志望者
귀환일기歸還日記
쫓겨 온 사나이
다시 넘는 고개
복숭아나무
해설 - 추방과 탈주, 경계인의 문학적 실천-엄흥섭론
■ 지은이 엄흥섭
1906년 충청남도 논산 출생. 경남 도립사범학교 졸업. 진주에서 교사 생활을 하면서 《습작시대》 《백웅》 《신시단》 등의 편집동인으로 활동했다. 1929년 상경하여 카프에 가담하고 같은 해 《조선문예》에 「세 거리로」를 발표하였다. 1930년 《조선지광》에 「흘러간 마을」을 발표하면서 정식으로 등단하여 본격적인 작품 활동을 시작하였다. 1931년 ‘《군기》사건’에 연루되어 카프에서 제명된 후 계급문학에서 통속 연애소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문학적 편력을 보여준다. 해방 후 이기영, 한설야 등과 함께 ‘조선문학가동맹’의 중앙집행위원으로 활동하였다. 한국전쟁 중 월북하여 ‘조선작가동맹’ 평안남도 지부장 등을 역임하며 「다시 넘는 고개」 「복숭아나무」 「동틀무렵」등을 발표하였다. 1987년 사망하였다.
■ 엮은이 이승윤
1967년 서울 출생.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및 동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논문으로 「교양소설의 가능성 혹은 소설의 미래」, 「일제하 경성방송의 담론 생산과정과 문학의 대응」, 「1920-30년대 역사를 통한 민중의 계몽과 양식적 실험」, 「총서에 나타난 해방기 북한의 국가 만들기 기획과 서사의 균열」과 저서로 『토지의 문화지형학』, 『딱지본 대중소설의 발견』, 『근대 역사담론의 생산과 역사소설』 등이 있다. 현재 포항공과대학교 인문사회학부에 재직 중이다.
계급문학에서 통속 연애소설에 이르기까지
한국문학사에서 경계에 서 있는 작가 엄흥섭의 작품 세계를 만나다!
현대문학에서 <한국문학의 재발견-작고문인선집> 시리즈의 하나로 엄흥섭의 작품들을 모아 『엄흥섭 선집』을 출간하였다. 엄흥섭은 한국문학사에서 경계에 서 있는 작가이다. 그가 경계인이라는 진술은 그의 작품과 문학적 실천이 어떤 하나의 경향으로 쉽게 재단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문학 창작과 출판 · 언론 등 다양한 방면의 활동을 통해 당대의 민족 현실에 대한 문제를 천착해나간 엄흥섭은 1920년대 카프 시절부터 해방 후 북한에서의 활동에 이르기까지 문단과 언론에서 활발한 활동을 한 다작의 작가이다. 그의 문학적 실천은 본격소설에서 아동문학까지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을 뿐 아니라, 언론과 출판계에서까지 활약하며 문필활동을 전개한 독특한 이력을 가지고 있다. 그의 작품 경향과 그가 걸어온 전기적 사실은 그가 프로문학과 통속문학, 좌익과 우익, 남과 북 사이에서 끊임없이 부유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1906년 충남 논산에서 태어난 엄흥섭은 일찍 아버지를 여의고, 11살 때 어머니마저 잃고 투기사업을 하다 실패한 형 때문에 집안마저 몰락하여 숙부의 집에서 자란다. 경남 도립사범학교를 졸업한 그는 1930년 《조선지광》에 「흘러간 마을」을 발표하면서 정식으로 등단하여 본격적인 작품 활동을 시작하였다. 엄흥섭은 작품 창작뿐 아니라 언론, 출판, 동인지 등에서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였다. 1937년에는 인천에서 발행되던 《월미》의 동인으로 활동하며, 해방 후에는 인천에서 창간된 《대중일보》와 《인천신문》의 편집국장, ‘조선문학가동맹’의 인천지부 위원장을 역임하기도 하였다. 이외에도 서울에서 발간되던 문학전문 주간지 《문학신문》의 편집장과 《제일신문》의 편집국장을 맡으며 언론인과 출판인으로서도 활약한다.
1931년 엄흥섭은 이른바 ‘《군기》사건’으로 인해 카프로부터 제명된다. 하지만 제명 이후에도 엄흥섭의 창작활동은 왕성하게 이루어진다. 엄흥섭은 프로문학에 대한 열정으로 현실에 대한 다양한 모색을 시도하였으나 열정의 과잉으로 말미암아 주관적 · 낭만적 경향으로 빠지기도 하며, 정치적 · 계급적 투쟁으로 나아가지 못하는 한계를 노출하기도 했다. 일제 말 억압적 상황과 생활고로 결국 통속작가로의 길로 들어선 엄흥섭은 허나 1940년에 총독부 기관지인 《매일신보》 편집기자로 활동하며 다시 한 번 작가적 변모를 시도한다.
문학적 가치와 매체, 시기별 특성을 고려하여 선정한 『엄흥섭 선집』에 실린 18편의 작품은 일제강점기에서 해방, 한국전쟁을 관통하는 엄흥섭의 작품세계를 일목요연하게 확인하는 기회가 될 것이다. 계급문학에서 통속 연애소설, 아동문학, 본격문학에 이르기까지, 진주에서 평양을 거치며 그가 걸어온 길은 한국문학사와 한국근현대사의 파란만장한 이력을 고스란히 체화하고 있다. 이러한 문학적 · 역사적 가치에도 불구하고 그의 작품은 그의 창작 시절을 포함하여 지금까지도 온전한 평가의 대상이 되지 못하였다. 이 선집을 통해 엄흥섭의 소설적 성과가 새롭게 평가되기를 기대한다.
* <한국문학의 재발견-작고문인선집>은 문학사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나 작품이 제대로 정리되어 있지 않은 작고문인들의 충실한 작품집을 발간하기 위해 기획된 시리즈이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후원하고 현대문학이 펴내는 이 총서는 앞으로 한국문학사의 가치를 정리·보존해 궁극적으로는 우리 문학의 위상을 확립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