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학의 재발견―작고문인선집〉을 펴내며
한국현대문학은 지난 백여 년 동안 상당한 문학적 축적을 이루었다. 한국의 근대사는 새로운 문학의 씨가 싹을 틔워 성장하고 좋은 결실을 맺기에는 너무나 가혹한 난세였지만, 한국현대문학은 많은 꽃을 피웠고 괄목할 만한 결실을 축적했다. 뿐만 아니라 스스로의 힘으로 시대정신과 문화의 중심에 서서 한편으로 시대의 어둠에 항거했고 또 한편으로는 시대의 아픔을 위무해왔다.
이제 한국현대문학사는 한눈으로 대중할 수 없는 당당하고 커다란 흐름이 되었다. 백여 년의 세월은 그것을 뒤돌아보는 것조차 점점 어렵게 만들며, 엄청난 양적인 팽창은 보존과 기억의 영역 밖으로 넘쳐나고 있다. 그리하여 문학사의 주류를 형성하는 일부 시인·작가들의 작품을 제외한 나머지 많은 문학적 유산들은 자칫 일실의 위험에 처해 있는 것처럼 보인다.
물론 문학사적 선택의 폭은 세월이 흐르면서 점점 좁아질 수밖에 없고, 보편적 의의를 지니지 못한 작품들은 망각의 뒤편으로 사라지는 것이 순리다. 그러나 아주 없어져서는 안 된다. 그것들은 그것들 나름대로 소중한 문학적 유물이다. 그것들은 미래의 새로운 문학의 씨앗을 품고 있을 수도 있고, 새로운 창조의 촉매 기능을 숨기고 있을 수도 있다. 단지 유의미한 과거라는 차원에서 그것들은 잘 정리되고 보존되어야 한다. 월북 작가들의 작품도 마찬가지이다. 기존 문학사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된 작가들을 주목하다보니 자연히 월북 작가들이 다수 포함되었다. 그러나 월북 작가들의 월북 후 작품들은 그것을 산출한 특수한 시대적 상황의 고려 위에서 분별 있게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당위적 인식이, 2006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문학소위원회에서 정식으로 논의되었다. 그 결과, 한국의 문화예술의 바탕을 공고히 하기 위한 공적 작업의 일환으로, 문학사의 변두리에 방치되어 있다시피 한 한국문학의 유산들을 체계적으로 정리, 보존하기로 결정되었다. 그리고 작업의 과정에서 새로운 의미나 새로운 자료가 재발견될 가능성도 예측되었다. 그러나 방대한 문학적 유산을 정리하고 보존하는 것은 시간과 경비와 품이 많이 드는 어려운 일이다. 최초로 이 선집을 구상하고 기획하고 실천에 옮겼던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위원들과 담당자들, 그리고 문학적 안목과 학문적 성실성을 갖고 참여해준 연구자들, 또 문학출판의 권위와 경륜을 바탕으로 출판을 맡아준 현대문학사가 있었기에 이 어려운 일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런 사업을 해낼 수 있을 만큼 우리의 문화적 역량이 성장했다는 뿌듯함도 느낀다.
<한국문학의 재발견―작고문인선집>은 한국현대문학의 내일을 위해서 한국현대문학의 어제를 잘 보관해둘 수 있는 공간으로서 마련된 것이다. 문인이나 문학연구자들뿐만 아니라 더 많은 사람들이 이 공간에서 시대를 달리하며 새로운 의미와 가치를 발견하기를 기대해본다.
2013년 4월
출판위원 김인환, 이숭원, 강진호, 김동식
제1부 _봄비
실솔 | 외로운 시간 | 석류 | 모란송·1 | 모란송·2 | 소곡·1 | 눈을 감고 | 포도 | 미명 | 겨울 | 꽃씨 | 무서움 | 화해 | 무덤과 나비 | 무등부| 꽃상여 엮는 밤 | 동백꽃 | 창 | 봄비 | ……아려 앓다 자다 | 풍우석 | MOSAIC 작업 | 그 나머지는 | 황토산에서 | 시혼| 사철나무 열과| 깊숙한 품속 같은 | 하 아까움이여 | 장미가 말없이 붉게 피게 | 4월 이후 | 살아나가는 동안 | 영춘부| 정을 놓고서 | 소상
제2부 _낮달
꽃의 출항 | 길 | 구름 | 황국미음 | 융동십사행 | 가을에 | 바다의 율동 | 황소 사설 | 목포항 은행나무 | 지리설 | 나목 | 다리 | 돌멩이나처럼 | 윤삼월 | 여름 의장 | 망설임 | 눈오는 밤 | 소곡·2 | 작도 | 귀뚜라미 | 이명 | 주조음 | 상 | 사모곡 | 숲 | 향가 | 뒤쫓고 있는 | 노을 | 숨소리 | 소곡·3 | 소곡·4 | 소곡·5 | 소곡·6 | 잎무늬 | 눈의 달 | 햇살 | 구름의 상·1 | 구름이 닦아준다 | 별이 돋기까지 | 가늘은 심문 | 대목의 아들 | 백자수병 | 종 | 향로 | 유화례선생송 | 익 | 가늘은 심문·3 | 연근단면 | 돌 서정·1 | 메아리 | 향배 | 돌 서정·2 | 가을날 | 파도·1 | 말 | 풍경 | 낮달·1 | 파도·2 | 산조 | 낮달·2 | 낮달·3 | 휴일 | 장미 귓속말 | 낮달·4 | 백자 연뽕연수 | 아침 | 메아리 | 산성
해설 - 기질적 우수와 세정의 리리시즘 · 장이지
■ 지은이: 이수복
1924년 전남 함평에서 태어났으며, 조선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했다. 1954년 「동백꽃」이 서정주에 의해 《문예》에 추천된 이후, 1955년 「실솔」「봄비」가 연달아 《현대문학》에 추천되어 등단했다. 1969년 시집 『봄비』를 상재했다. 광주 수피아여학교 등에서 평생 교직에 머물다가 1986년 타계했다. 1957년 <현대문학상> 신인상을 수상한 바 있다.
■ 엮은이: 장이지
1976년 전남 고흥에서 태어났으며, 성균관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및 동 대학원을 졸업했다. 박사학위논문으로 『한국 초현실주의 시 연구』(2006)가 있다. 2000년 『현대문학』 신인추천(시)으로 등단했으며, 시집으로 『안국동울음상점』(2007)이 있다. 현재 성균관대학교, 성공회대학교 등에 출강하고 있다.
힘들고 서러운 시절을 맑고 섬세한 시어로 이겨낸 서정의 시인 이수복.
21세기에 다시 읽는 그의 시전집!
1955년 문단에 데뷔한 이래 30년 가까이 활동하며 주옥같은 서정시를 남긴 이수복의 시전집이 현대문학에서 출간되었다. 『이수복 시전집』은 잊히고 묻힌 작가들의 작품을 새롭게 발굴하는 <한국문학의 재발견-작고문인선집> 시리즈로 발간된 것으로 국내에서는 최초로 출간되는 이수복의 시전집이다.
“이 비 그치면 / 내 마음 강나루 긴 언덕에 / 서러운 풀빛이 짙어오것다.”
‘이 비 그치면’으로 시작하는 일정한 구문의 반복과 감칠맛 나는 사투리의 반복이 만들어내는 음악적 효과로 인해 국민적 애송시로 널리 회자된 「봄비」.
사람들은 이수복을 「봄비」의 시인으로만 기억한다. 시의 명성에 비해 시인 이수복의 전체적인 시 세계는 제대로 조명되지 못한 것이다.
평생을 금방이라도 사라질 것 같은 작고 연약한 것들에 대한 애정 어린 시선을 놓지 않았던 이수복. 그는 모진 가난과 생활고 속에서도 특유의 우수 어린 정서를 지켜가며 맑고 섬세한 시어를 다듬어내며 서러운 세월을 이겨냈다. 이는 그의 시가 한恨으로 대표되는 한국적 정서의 중핵과 맞닿아 있다는 평가를 받는 이유이기도 하다.
이수복은 생전에 34편의 시를 묶은 『봄비』 한 권의 시집만을 출간했다. 이후에도 십여 년 이상 열정적으로 100여 편 이상의 시를 발표했지만, 특유의 엄격함 때문인지 더 이상 시집을 엮지는 못했다. 때문에 이수복에 대한 연구는 주로 『봄비』에만 국한되거나, 혹은 전체 시세계를 조망하는 것이 어렵다는 이유로 외면되어온 것이 사실이다. 때문에 이번 『이수복 시전집』의 출간은 정통 서정시인 이수복의 연구에 일대 전환점을 불러옴과 동시에 그의 전체적인 시세계를 조망하고, 더 나아가 우리 시사詩史에서 서정시의 계보를 완성시키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 <한국문학의 재발견-작고문인선집>은 문학사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나 작품이 제대로 정리되어 있지 않은 작고문인들의 충실한 작품집을 발간하기 위해 기획된 시리즈이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기획하고 현대문학이 펴내는 이 총서는 앞으로 한국문학사의 가치를 정리·보존해 궁극적으로는 우리 문학의 위상을 확립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