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학의 재발견 ― 작고문인선집〉을 펴내며
한국현대문학은 지난 백여 년 동안 상당한 문학적 축적을 이루었다. 한국의 근대사는 새로운 문학의 씨가 싹을 틔워 성장하고 좋은 결실을 맺기에는 너무나 가혹한 난세였지만, 한국현대문학은 많은 꽃을 피웠고 괄목할 만한 결실을 축적했다. 뿐만 아니라 스스로의 힘으로 시대정신과 문화의 중심에 서서 한편으로 시대의 어둠에 항거했고 또 한편으로는 시대의 아픔을 위무해왔다.
이제 한국현대문학사는 한눈으로 대중할 수 없는 당당하고 커다란 흐름이 되었다. 백여 년의 세월은 그것을 뒤돌아보는 것조차 점점 어렵게 만들며, 엄청난 양적인 팽창은 보존과 기억의 영역 밖으로 넘쳐나고 있다. 그리하여 문학사의 주류를 형성하는 일부 시인·작가들의 작품을 제외한 나머지 많은 문학적 유산들은 자칫 일실의 위험에 처해 있는 것처럼 보인다.
물론 문학사적 선택의 폭은 세월이 흐르면서 점점 좁아질 수밖에 없고, 보편적 의의를 지니지 못한 작품들은 망각의 뒤편으로 사라지는 것이 순리다. 그러나 아주 없어져서는 안 된다. 그것들은 그것들 나름대로 소중한 문학적 유물이다. 그것들은 미래의 새로운 문학의 씨앗을 품고 있을 수도 있고, 새로운 창조의 촉매 기능을 숨기고 있을 수도 있다. 단지 유의미한 과거라는 차원에서 그것들은 잘 정리되고 보존되어야 한다. 월북 작가들의 작품도 마찬가지이다. 기존 문학사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된 작가들을 주목하다보니 자연히 월북 작가들이 다수 포함되었다. 그러나 월북 작가들의 월북 후 작품들은 그것을 산출한 특수한 시대적 상황의 고려 위에서 분별 있게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당위적 인식이, 2006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문학소위원회에서 정식으로 논의되었다. 그 결과, 한국의 문화예술의 바탕을 공고히 하기 위한 공적 작업의 일환으로, 문학사의 변두리에 방치되어 있다시피 한 한국문학의 유산들을 체계적으로 정리, 보존하기로 결정되었다. 그리고 작업의 과정에서 새로운 의미나 새로운 자료가 재발견될 가능성도 예측되었다. 그러나 방대한 문학적 유산을 정리하고 보존하는 것은 시간과 경비와 품이 많이 드는 어려운 일이다. 최초로 이 선집을 구상하고 기획하고 실천에 옮겼던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위원들과 담당자들, 그리고 문학적 안목과 학문적 성실성을 갖고 참여해준 연구자들, 또 문학출판의 권위와 경륜을 바탕으로 출판을 맡아준 현대문학사가 있었기에 이 어려운 일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런 사업을 해낼 수 있을 만큼 우리의 문화적 역량이 성장했다는 뿌듯함도 느낀다.
<한국문학의 재발견-작고문인선집>은 한국현대문학의 내일을 위해서 한국현대문학의 어제를 잘 보관해둘 수 있는 공간으로서 마련된 것이다. 문인이나 문학연구자들뿐만 아니라 더 많은 사람들이 이 공간에서 시대를 달리하며 새로운 의미와 가치를 발견하기를 기대해본다.
2012년 3월
출판위원 김인환, 이숭원, 강진호, 김동식
제1부_희곡
길
제국帝國 일본의 마지막 날
불더미 속에서
버스 정류장이 있는 로터리에서 생긴 일
청춘
아들들
바람을 잡아먹은 아이들
제2부_연극 평론
연극운동의 당면과제—정부 수립과 제반 정책
민족 연극의 갈 길
극문학의 후진성
신인의 진출을 고대한다—희곡의 빈곤을 근본적으로 타개하기 위하여
극적인 희곡과 문학적인 희곡
아동극 소고—어린이에게 무대를 주자
제3부_작가 수기 및 지인들의 회고담
동부전선 풍물묘시風物描詩
술과 예술藝術과
간도 시절의 추억 -안수길
조사弔辭 -이헌구
해설_연극 발전에 투신한 영원한 연극계의 지성
작가 연보
작품 목록
연구 목록
수기 및 회고담
■ 지은이 : 김진수
1909년 3월 3일 평안남도 중화군 풍동면 능성리에서 출생했고 아호는 춘담(春潭)이다. 1935년 도쿄 릿쿄대학 문학부 영문학과를 졸업했다. 1936년 ‘극예술연구회’ 현상 희곡상에 처녀작 「길」(전4막)이 당선되면서 등단하여, 1937년에는 ‘극예술연구회’에 가입하였으며, 1938년에는 「종달새」, 「산타클로스」 등의 아동극을 《동아일보》에 연재하였다. 같은 해 간도의 은진중학교에 교사로 취임하였으며 1946년에 조선으로 돌아왔다. 해방 이후 ‘조선문화건설중앙협의회’ 회원으로 활동하면서 「제국 일본의 마지막 날」, 「코스모스」 등을 창작했고, 6ㆍ25전쟁이 터진 뒤에는 ‘육군종군작가단’에 참가해 동ㆍ중부전선에 참전했다. 그의 활동은 1950년대에 가장 왕성하게 이루어졌다. 이 시기의 창작 희곡으로는 「불더미 속에서」, 「버스 정류장이 있는 로터리에서 생긴 일」, 「바람을 잡아먹은 아이들」, 「청춘」, 「이 몸을 조국에 바치리」, 「아들들」, 「뒷골목의 예수」 등이 있으며, 이 작품들을 묶어 1959년 『김진수희곡선집』을 성문각에서 출판했다. 김진수는 평론가로서도 왕성하게 활동하여 60여 편이 넘는 글을 여러 잡지와 신문 등에 투고했다. 뿐만 아니라 교육자로서 중앙대학교, 신흥대학교(경희대학교 전신), 덕성여자대학교, 서라벌예술학원(서라벌예술대학 전신) 등을 거치면서 평생 후학 양성에 열정을 쏟았다. 또한 1945년 조선문화건설중앙협의뢰 회원, 1949년 대한문화인협회 설립 준비위원, 1957년 전국문화단체총연합회 중앙위원, 1962년 한국연극협회 희곡분과위원장 등을 역임하며 연극계를 대표하는 문화 예술인으로 활약했다. 그러나 건강 악화로 1966년 8월 31일 58세의 나이에 세상을 떠났다.
■ 엮은이 : 한영현
성신여자대학교 국문학과에서 「해방기 한국 영화의 형성과 전개 양상 연구」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주요 논문으로는 「문예영화에 나타난 육체 표상과 서울의 물질성」, 「1960년대 산업화 시대와 영화의 정체성」, 「첸카이거 영화의 시간과 역사」 등이 있다. 현재 성신여자대학교에 출강하고 있다.
1930년대부터 1960년대까지 시대의 큰 변화와 궤를 같이하며
한평생을 연극 발전에 투신한 영원한 연극계의 지성, 김진수 작품 선집
현대문학사의 <한국문학의 재발견-작고문인선집> 시리즈에 선정된 김진수는 1909년 평안남도에서 태어나 1935년 일본 도쿄의 릿쿄대학에서 영문학을 공부하다 1936년 극예술연구회 현상 희곡상에 「길」이 당선되면서 등단했다. 그후 1966년 세상을 떠날 때까지, 그는 희곡의 발전과 나아가야 할 방향을 지속적으로 탐구하면서 희곡을 문학장場의 중심부에 자리매김하려고 노력한 인물이다.
일제강점기 이후 연극계는 흥행과 돈벌이만을 노리는 통속 작품들로 성행했다. 연극의 존재 가치마저 상실할 위기에 처해 있을 때, 김진수는 ‘연극은 단순한 오락물이 아니라 시대와 역사를 조망하고 선취하는 문학이자 예술’이라며 희곡의 예술적 성취와 역사적 사명감을 끊임없이 역설했다. 기성 연극계의 모순과 불합리성을 비판하고 연극계의 새로운 변화를 요구했던 자신의 진심 어린 바람들을 60여 편이 넘는 연극 평론에 고스란히 담아냈고, 그러한 주장을 실천하는 방법으로 창작 희곡에 열정을 쏟아부었다. 그러하기에 21편이나 되는 그의 희곡 작품은 그가 지향했던 구체적인 연극의 상像을 살펴보는 데 중요한 기준이 된다. 또한 그가 남긴 작품은 식민지 시대, 8ㆍ15해방, 6ㆍ25전쟁과 같은 시대의 큰 변화와 궤를 같이하고 있어 당시의 시대상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김진수는 30여 년 동안 창작 희곡과 연극 평론을 발표하며 연극계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는 한편 평생 교육자의 길을 걸으며 연극 발전에 일익을 담당했다. 간도의 은진중학교 교사를 시작으로 경기여자중학교, 중앙대학교, 신흥대학교(경희대학교 전신), 덕성여자대학교, 서라벌예술학원(서라벌예술대학 전신) 등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며 당시 침체된 연극계를 쇄신하고 발전시킬 미래의 인재들을 키우고자 노력했던 모습에서, 그의 학생들에 대한 기대와 함께 연극계에 대한 정열을 읽을 수 있다.
김진수가 보여준 희곡 및 평론, 교육자로서의 활동은 스펙트럼이 넓고 깊다. 그러므로 30여 년에 걸친 그의 작가 세계와 작품, 평론 세계까지 좀더 세밀하게 검토해 문학사적 평가를 재고해볼 필요성이 있다. 무엇보다 희곡 작품에만 국한된 기존의 문학적 평가에서 벗어나 그의 활동에 대한 종합적인 접근과 해석을 통해 그가 연극의 발전을 위해 투신한 지성이자, 지금도 연극계에서 유의미한 존재라는 점을 다각도에서 규명해야 할 것이다.
* <한국문학의 재발견-작고문인선집>은 문학사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나 작품이 제대로 정리되어 있지 않은 작고문인들의 충실한 작품집을 발간하기 위해 기획된 시리즈이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후원하고 현대문학이 펴내는 이 총서는 앞으로 한국문학사의 가치를 정리·보존해 궁극적으로는 우리 문학의 위상을 확립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