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학의 재발견 ― 작고문인선집>을 펴내며
한국현대문학은 지난 백여 년 동안 상당한 문학적 축적을 이루었다. 한국의 근대사는 새로운 문학의 씨가 싹을 틔워 성장하고 좋은 결실을 맺기에는 너무나 가혹한 난세였지만, 한국현대문학은 많은 꽃을 피웠고 괄목할 만한 결실을 축적했다. 뿐만 아니라 스스로의 힘으로 시대정신과 문화의 중심에 서서 한편으로 시대의 어둠에 항거했고 또 한편으로는 시대의 아픔을 위무해왔다.
이제 한국현대문학사는 한눈으로 대중할 수 없는 당당하고 커다란 흐름이 되었다. 백여 년의 세월은 그것을 뒤돌아보는 것조차 점점 어렵게 만들며, 엄청난 양적인 팽창은 보존과 기억의 영역 밖으로 넘쳐나고 있다. 그리하여 문학사의 주류를 형성하는 일부 시인·작가들의 작품을 제외한 나머지 많은 문학적 유산들은 자칫 일실의 위험에 처해 있는 것처럼 보인다.
물론 문학사적 선택의 폭은 세월이 흐르면서 점점 좁아질 수밖에 없고, 보편적 의의를 지니지 못한 작품들은 망각의 뒤편으로 사라지는 것이 순리다. 그러나 아주 없어져서는 안 된다. 그것들은 그것들 나름대로 소중한 문학적 유물이다. 그것들은 미래의 새로운 문학의 씨앗을 품고 있을 수도 있고, 새로운 창조의 촉매 기능을 숨기고 있을 수도 있다. 단지 유의미한 과거라는 차원에서 그것들은 잘 정리되고 보존되어야 한다. 월북 작가들의 작품도 마찬가지이다. 기존 문학사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된 작가들을 주목하다보니 자연히 월북 작가들이 다수 포함되었다. 그러나 월북 작가들의 월북 후 작품들은 그것을 산출한 특수한 시대적 상황의 고려 위에서 분별 있게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당위적 인식이, 2006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문학소위원회에서 정식으로 논의되었다. 그 결과, 한국의 문화예술의 바탕을 공고히 하기 위한 공적 작업의 일환으로, 문학사의 변두리에 방치되어 있다시피 한 한국문학의 유산들을 체계적으로 정리, 보존하기로 결정되었다. 그리고 작업의 과정에서 새로운 의미나 새로운 자료가 재발견될 가능성도 예측되었다. 그러나 방대한 문학적 유산을 정리하고 보존하는 것은 시간과 경비와 품이 많이 드는 어려운 일이다. 최초로 이 선집을 구상하고 기획하고 실천에 옮겼던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위원들과 담당자들, 그리고 문학적 안목과 학문적 성실성을 갖고 참여해준 연구자들, 또 문학출판의 권위와 경륜을 바탕으로 출판을 맡아준 현대문학사가 있었기에 이 어려운 일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런 사업을 해낼 수 있을 만큼 우리의 문화적 역량이 성장했다는 뿌듯함도 느낀다.
<한국문학의 재발견-작고문인선집>은 한국현대문학의 내일을 위해서 한국현대문학의 어제를 잘 보관해둘 수 있는 공간으로서 마련된 것이다. 문인이나 문학연구자들뿐만 아니라 더 많은 사람들이 이 공간에서 시대를 달리하며 새로운 의미와 가치를 발견하기를 기대해본다.
2009년 2월
출판위원 염무웅, 이남호, 강진호, 방민호
■ 차례
소설
나의 어머니 | 꺼래이 | 복선이 | 채색교彩色橋 | 적빈赤貧 | 낙오 | 악부자顎富者 | 정현수鄭賢洙 | 의혹의 흑모黑眸 | 학사 | 호도湖途 | 정조원貞操怨 | 어느 전원의 풍경 | 광인수기狂人手記 | 소독부小毒婦 | 일여인一女人 | 혼명混冥에서 | 아름다운 노을 | 상금 삼 원야 | 가지 말게 | 멀리 간 동무 | 푸른 하늘
수필
슈크림 | 정거장 4제 | 철없는 사회자 | 백안白雁 | 초화 | 금계납 | 금잠 | 자수 | 촌민들 | 자서소전自敍小傳 | 나의 시베리아 방랑기
■ 지은이: 백신애
1908년 경북 영천에서 태어났다. 집과 향교에서 한학을 공부하다 영천공립보통학교 4년 과정을 졸업하고, 경북사범학교 강습과를 나와 2년 동안 교사 생활을 했다. 1926년 교사 시절, 북풍파인 ‘경성여자청년동맹’ ‘조선여성동우회’에 가입하여 비밀리에 여성운동을 한 것이 탄로나 권고사직을 당하고 서울로 올라가 여성운동에 뛰어들었다. 1939년 6월 23일 췌장암으로 사망했다. 백신애는 1929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소설 「나의 어머니」가 당선된 신춘문예 최초 여성작가였다. 주요작품으로 「꺼래이」「채색교」「적빈」「악부자」「소독부」를 비롯해 소설 22편, 수필과 기행문 등 33편을 남겼으며, 2008년 고향 영천에 문학비가 세워지고 ‘백신애문학상’이 제정되었다.
■ 엮은이: 이중기
1957년 경북 영천에서 태어났다. 1992년 시집 『식민지 농민』으로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시집으로 『숨어서 피는 꽃』(1995) 『밥상 위의 안부』(2001) 『다시 격문을 쓴다』(2005) 『오래된 책』(2008) 등이 있으며, 현재 영천에서 농사를 짓고 있다.
광기의 언어로 민중의 삶을 있는 그대로 그려낸 최고의 리얼리스트.
일제 강점기 대표적인 여성작가 백신애 문학의 정수!
백신애는 신춘문예 최초의 여성작가로, 강경애와 함께 일제 강점기 대표적인 여성 작가로 불린다. 그녀는 19세의 나이에 여권도 없이 밀항으로 요즘 젊은이들도 쉽게 엄두를 내지 못할 시베리아 방랑을 떠나는 등 짧고 격렬한 인생을 살았다. 현대문학에서 <한국문학의 재발견-작고문인선집>의 하나로 발간한 『백신애 선집』에는 여성의 관점으로 민중의 처절했던 삶을 있는 그대로 그려낸 백신애의 단편소설 22편과 수필 11편이 수록되어 있다.
1920년대와 30년대를 짧고 격렬하게 살다 간 작가 백신애는 6년 남짓한 짧은 집필기간에도 녹록치 않은 분량의 작품을 생산해냈다. 일제 강점기 교사로 재직하던 중에 뛰어든 여성운동, 열아홉의 나이에 여권도 없이 떠난 시베리아 방랑과 그로 인한 구속과 잔인한 고문, 그리고 고문 후유증으로 얻게 된 불임. 부유한 집안의 딸로 얼마든지 편안한 삶을 누릴 수 있음에도 그녀는 식민지 치하 고통 받는 민중의 삶을 외면하지 못했고, 결국 자신이 선택한 삶의 무게를 오로지 혼자 견뎌내야만 했다.
백신애의 작품은 그 삶만큼이나 격렬하고 열정적이다. 그녀는 1930년대 농촌 사람들의 곤궁한 삶과 여성에게 침묵과 순종을 요구하는 가부장적 가족제도 아래서 억압받는 여성들의 삶을 고발하는 작품을 썼다. 그러나 특유의 광기 어린 언어와, 거친 문장, 격렬한 정열의 과잉으로 인해 객관성과 합리성에서 치명적 약점을 가졌다는 평가 때문에 제대로 조명 받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백신애는 민중의 처절했던 삶을 여성의 관점에서 바라보고, 리얼리즘의 지평을 넓힌 작가였다. 부유한 집안의 외동딸이라는 태생적 한계 속에서도 하층민의 삶을 애정 어린 시선으로 바라보며, 그들의 삶을 안타까워했던 작가 백신애. 2009년, 백신애 사후 70년을 맞춰 발간된 『백신애 선집』은 그동안 제대로 평가받지 못해 기억 저편으로 사라진 백신애라는 한 작가를 우리 곁으로 불러오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한국문학의 재발견-작고문인선집>은 문학사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나 작품이 제대로 정리되어 있지 않은 작고문인들의 충실한 작품집을 발간하기 위해 기획된 시리즈이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기획하고 현대문학이 펴내는 이 총서는 앞으로 한국문학사의 가치를 정리·보존해 궁극적으로는 우리 문학의 위상을 확립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