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학의 재발견 ― 작고문인선집〉을 펴내며
한국현대문학은 지난 백여 년 동안 상당한 문학적 축적을 이루었다. 한국의 근대사는 새로운 문학의 씨가 싹을 틔워 성장하고 좋은 결실을 맺기에는 너무나 가혹한 난세였지만, 한국현대문학은 많은 꽃을 피웠고 괄목할 만한 결실을 축적했다. 뿐만 아니라 스스로의 힘으로 시대정신과 문화의 중심에 서서 한편으로 시대의 어둠에 항거했고 또 한편으로는 시대의 아픔을 위무해왔다.
이제 한국현대문학사는 한눈으로 대중할 수 없는 당당하고 커다란 흐름이 되었다. 백여 년의 세월은 그것을 뒤돌아보는 것조차 점점 어렵게 만들며, 엄청난 양적인 팽창은 보존과 기억의 영역 밖으로 넘쳐나고 있다. 그리하여 문학사의 주류를 형성하는 일부 시인·작가들의 작품을 제외한 나머지 많은 문학적 유산들은 자칫 일실의 위험에 처해 있는 것처럼 보인다.
물론 문학사적 선택의 폭은 세월이 흐르면서 점점 좁아질 수밖에 없고, 보편적 의의를 지니지 못한 작품들은 망각의 뒤편으로 사라지는 것이 순리다. 그러나 아주 없어져서는 안 된다. 그것들은 그것들 나름대로 소중한 문학적 유물이다. 그것들은 미래의 새로운 문학의 씨앗을 품고 있을 수도 있고, 새로운 창조의 촉매 기능을 숨기고 있을 수도 있다. 단지 유의미한 과거라는 차원에서 그것들은 잘 정리되고 보존되어야 한다. 월북 작가들의 작품도 마찬가지이다. 기존 문학사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된 작가들을 주목하다보니 자연히 월북 작가들이 다수 포함되었다. 그러나 월북 작가들의 월북 후 작품들은 그것을 산출한 특수한 시대적 상황의 고려 위에서 분별 있게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당위적 인식이, 2006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문학소위원회에서 정식으로 논의되었다. 그 결과, 한국의 문화예술의 바탕을 공고히 하기 위한 공적 작업의 일환으로, 문학사의 변두리에 방치되어 있다시피 한 한국문학의 유산들을 체계적으로 정리, 보존하기로 결정되었다. 그리고 작업의 과정에서 새로운 의미나 새로운 자료가 재발견될 가능성도 예측되었다. 그러나 방대한 문학적 유산을 정리하고 보존하는 것은 시간과 경비와 품이 많이 드는 어려운 일이다. 최초로 이 선집을 구상하고 기획하고 실천에 옮겼던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위원들과 담당자들, 그리고 문학적 안목과 학문적 성실성을 갖고 참여해준 연구자들, 또 문학출판의 권위와 경륜을 바탕으로 출판을 맡아준 현대문학사가 있었기에 이 어려운 일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런 사업을 해낼 수 있을 만큼 우리의 문화적 역량이 성장했다는 뿌듯함도 느낀다.
<한국문학의 재발견-작고문인선집>은 한국현대문학의 내일을 위해서 한국현대문학의 어제를 잘 보관해둘 수 있는 공간으로서 마련된 것이다. 문인이나 문학연구자들뿐만 아니라 더 많은 사람들이 이 공간에서 시대를 달리하며 새로운 의미와 가치를 발견하기를 기대해본다.
2013년 3월
출판위원 김인환, 이숭원, 강진호, 김동식
■ 차례
두 나그네
참외
옹배기
쌀장수
소문
호식虎食
혈穴
젊은 홀어미들
황량한 촌락
돌방구네
월광月光
새로 난 주막
가난한 형제
기계방아 도는 마을
농우부고장
농민과 시민
농지상한선農地上限線
쑥골의 신화
후사
해설_오유권의 생애와 소설
작가 연보
작품 목록
연구 목록
■ 지은이 : 오유권
1928년 전남 나주에서 태어났다. 영산포 남소학교를 졸업하였으며, 1945년 체신소 양성소 전화과 수료 후 영산포 우체국에서 근무했다. 1955년《현대문학》4월호에「두 나그네」, 12월호에「참외」가 추천되면서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1966년부터는 우체 업무를 그만두고 창작활동에만 주력했다. 1981년에 뇌졸중으로 쓰러진 후에도 100여 편의 소설을 발표하여 250여 편의 소설을 남기고 1999년 작고했다. 소설집으로『농지상한선』,『월광』,『오유권 작품집』이 있으며 장편소설은『방앗골 혁명』,『황토의 아침』등이 있다.
■ 엮은이 : 최은영
고려대학교 국문과 대학원 졸업.「한국 현대서정소설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고려대, 순천향대, 카이스트에서 강사로 재직 중이다.
농촌을 배경으로 하층민과 농민들의 일상을 특유의 전라도 사투리를 이용해
구체적이고 사실적으로 표현한 농민 작가, 오유권
현대문학에서 <한국문학의 재발견-작고문인선집> 시리즈의 하나로『오유권 소설 선집』을 출간하였다. 오유권은 1955년「두 나그네」를 발표한 이후 42년 동안 250여 편의 소설(장편 9편, 중편 10편, 단편 230편 가량)을 발표했을 정도로 활발히 작품 활동을 한 작가이다. 하지만 방대한 작품 수에 비해 그의 단편소설은 문학전집에 한두 편씩 소개되었거나 단 두 권의 작품 선집에서만 확인할 수 있을 뿐이다. 게다가 문학사에서도 1960년대 농민소설인『방앗골 혁명』만이 간혹 언급될 정도로 그의 소설 세계에 대한 연구는 제대로 진행되지 않은 상태이다. 작품 수가 작가의 역량이나 문학사적 의의와 정비례하는 것은 아니지만 오유권은 대부분의 소설에서 농촌의 현실을 집요하게 다룸으로써 ‘농촌의 일상’이라는 그만의 소설 세계를 구축했다는 점에서 재확인이 필요한 작가이다. 1950년대 이후라는 역사적 격변기를 배경으로, 전라도 농민들의 삶과 체험을 오유권만큼 실감나게 녹여낸 소설가는 없을 것이다. 그는 자신의 농촌 체험을 바탕으로 그 시대 농민들의 일상과 애환을 다양한 관점에서 포착하고 있다. 그런 점에서 오유권의 소설 세계를 이해하는 것은 당시 전 국민의 60퍼센트 이상을 차지했던 농민들, 민중들의 삶의 결을 읽어낼 수 있는 하나의 단초를 마련하게 해준다.
오유권은 일관되게 농민들의 삶을 주된 소재로 삼았다. 1950~60년대에 발표한 그의 소설들은 농민들의 소박한 생활과 그들의 정서, 빈곤, 분노, 6·25 전쟁이 농민들에게 남긴 상처, 정치적 각성 과정 등을 담고 있다. 특히 그의 소설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가난한 농민, 과부, 떠돌이 장사꾼과 같은 하층민들이다. 오유권은 이들의 일상적 문제에 관심을 기울였다. 이들은 아주 ‘사소한 문제’로 다투지만 그 ‘사소함’이 실은 그들의 생존 문제와 직결되기에 그것이 곧 본질적 문제일 수 있다는 점을 역설적으로 인식하게 만드는 인물들이다. 동시에 그들은 서로가 고달픈 처지라는 공통분모를 지니기에 갈등 관계에서도 화해를 추동할 수 있는 힘을 내재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인물들의 소탈하고 진실한 본성이 드러나게 된다. 물론 위와 같은 작품 경향이 1970~80년대에도 반복, 변주되어 나타나는데다가 소설 기법이나 내용에 있어서 새로운 변화나 시대의식을 반영하지 못했다는 비판 또한 있어왔다. 하지만 오유권 소설이 농민들의 구체적인 생활에서 비롯된 애환을 특유의 전라도 사투리를 통해 드러냄으로써 그 시대 민중들의 고단함과 서글픔을 객관적이면서도 진솔하게 포착하였다는 점은 중요하게 평가되어야 한다. 농민의 시각에서 그들이 처한 상황을 정확하게 반영하였다는 점이 그의 소설이 이룬 미덕일 것이다. 이로써 오유권은 ‘농촌’이라는 공간을 이상적이거나 순수한 공간, 무지의 공간이 아니라 삶의 연장이자 생활의 공간, 즉 일상적 면모를 지닌 공간으로 살려내었다. 그런 점에서 오유권이 형상화해낸 민중들의 삶은 일상에서 출발한 다양성과 구체성으로 구현되었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