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학의 재발견 ― 작고문인선집〉을 펴내며
한국현대문학은 지난 백여 년 동안 상당한 문학적 축적을 이루었다. 한국의 근대사는 새로운 문학의 씨가 싹을 틔워 성장하고 좋은 결실을 맺기에는 너무나 가혹한 난세였지만, 한국현대문학은 많은 꽃을 피웠고 괄목할 만한 결실을 축적했다. 뿐만 아니라 스스로의 힘으로 시대정신과 문화의 중심에 서서 한편으로 시대의 어둠에 항거했고 또 한편으로는 시대의 아픔을 위무해왔다.
이제 한국현대문학사는 한눈으로 대중할 수 없는 당당하고 커다란 흐름이 되었다. 백여 년의 세월은 그것을 뒤돌아보는 것조차 점점 어렵게 만들며, 엄청난 양적인 팽창은 보존과 기억의 영역 밖으로 넘쳐나고 있다. 그리하여 문학사의 주류를 형성하는 일부 시인·작가들의 작품을 제외한 나머지 많은 문학적 유산들은 자칫 일실의 위험에 처해 있는 것처럼 보인다.
물론 문학사적 선택의 폭은 세월이 흐르면서 점점 좁아질 수밖에 없고, 보편적 의의를 지니지 못한 작품들은 망각의 뒤편으로 사라지는 것이 순리다. 그러나 아주 없어져서는 안 된다. 그것들은 그것들 나름대로 소중한 문학적 유물이다. 그것들은 미래의 새로운 문학의 씨앗을 품고 있을 수도 있고, 새로운 창조의 촉매 기능을 숨기고 있을 수도 있다. 단지 유의미한 과거라는 차원에서 그것들은 잘 정리되고 보존되어야 한다. 월북 작가들의 작품도 마찬가지이다. 기존 문학사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된 작가들을 주목하다보니 자연히 월북 작가들이 다수 포함되었다. 그러나 월북 작가들의 월북 후 작품들은 그것을 산출한 특수한 시대적 상황의 고려 위에서 분별 있게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당위적 인식이, 2006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문학소위원회에서 정식으로 논의되었다. 그 결과, 한국의 문화예술의 바탕을 공고히 하기 위한 공적 작업의 일환으로, 문학사의 변두리에 방치되어 있다시피 한 한국문학의 유산들을 체계적으로 정리, 보존하기로 결정되었다. 그리고 작업의 과정에서 새로운 의미나 새로운 자료가 재발견될 가능성도 예측되었다. 그러나 방대한 문학적 유산을 정리하고 보존하는 것은 시간과 경비와 품이 많이 드는 어려운 일이다. 최초로 이 선집을 구상하고 기획하고 실천에 옮겼던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위원들과 담당자들, 그리고 문학적 안목과 학문적 성실성을 갖고 참여해준 연구자들, 또 문학출판의 권위와 경륜을 바탕으로 출판을 맡아준 현대문학사가 있었기에 이 어려운 일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런 사업을 해낼 수 있을 만큼 우리의 문화적 역량이 성장했다는 뿌듯함도 느낀다.
<한국문학의 재발견-작고문인선집>은 한국현대문학의 내일을 위해서 한국현대문학의 어제를 잘 보관해둘 수 있는 공간으로서 마련된 것이다. 문인이나 문학연구자들뿐만 아니라 더 많은 사람들이 이 공간에서 시대를 달리하며 새로운 의미와 가치를 발견하기를 기대해본다.
2009년 11월
출판위원 염무웅, 이남호, 강진호, 방민호
■ 차례
제1부_해방 이전의 시
명월야明月夜, 한 가지 유언, 씨를 뿌리자, 어지러운 이 세대, 케말 파샤의 찬가讚歌, 나그네, 괴로운 조선, 고별의 노래, 설운 사랑, 여름 구름, 가을바람 낙엽, 망각忘却, 동지同志, 저자에 가는 날, 향수鄕愁, 가난으로 십 년 설움으로 십 년, 젊은 사람!, 여명이전黎明以前, 시냇물 소리를 들으면서, 거리로 나와 해를 겨누라, 신神에 대한 질문, 공장工場, 나는 불행한 사람이로다, 아침, 윤전기輪轉機와 사층四層집, 남대문, 밤차, 최초의 은인, 묵상시편想詩篇, 데모, 오후 여섯 시, 새로운 도시, 개나리야, 고향 생각, 목숨, 여인, 너무도 슬픈 사실, 백일몽, 탄식하는 사람들, 정성스러운 마음으로, 그 누가 저 시냇가에서, 가을밤 하늘 위에, 내가 흙을, 가로등하풍경街路燈下風景, 무제음無題吟, 달밤, 점경點景, 겨울 달, 하루의 과정, 희망, 실제失題, 병상病床, 근영수제近數題, 하야풍경夏夜風景, 길손, 가을, 또다시 님을 그리움, 실제失題, 두옹찬杜翁讚, 가을밤, 연설회의 밤, 승리의 봄, 선구자, 봄, 사월, 청춘송靑春頌, 무제無題, 시냇물, 바다의 팔월, 무제無題, 소복 입은 손님이 오시다, 실제失題, 선죽교善竹橋, 새해, 도회정조都會情調, 태양을 등진 거리 위에서, 인천항仁川港, 나를 부르는 소리 있어 가로되, 여름 저녁 거리 위로, 곡마단 풍경, 조선의 여인이여, 가을, 님을 그리움, 그대, 해변에서, 근영편편近?片片
제2부_해방 이후의 시
다시 맞는 영광의 날, 평양을 노래함, 3.1절, 파종, 건설의 노래, 평양, 전방위문, 강철은 불속에서, 봄, 축배, 오늘을 기다렸노라, 송남 탄광으로, 용광로야, 젊은 벗들에게, 규율, 두만강 나룻가에, 그대의 손을, 이웃집의 경사, 농촌으로 가는 길, 천선대, 집선봉, 받으시라, 우리의 뜨거운 정을
해설_현실성과 서정성의 갈등과 통합
■ 지은이 : 박팔양
1905년 경기도 수원에서 태어나, 식민지 시대에 카프와 구인회에서 활동하였고, 해방 후에는 월북하여 북한에서 오랫동안 작품 활동을 한 시인이다. 배재고보 재학 중 박영희, 김기진 등과 만나 카프에 가담하였고, 정지용, 김용준, 김화산 등과 함께 등사판 문예동인지 《요람搖藍》을 펴내기도 하였다. 1930년대를 지나 카프와는 대척점에 있던 구인회 후기 동인으로 참여하였고, 1940년에 첫 시집 『여수시초麗水詩抄』를 상재하였다. 해방 후에는 월북하여 줄곧 북한 문단의 지도자로 활약하였다. 서정서사시 『황해의 노래』, 시선집 『박팔양시선집』, 장편서사시 『눈보라 만리』 등을 펴내면서 북한 문단의 중요한 시인으로 활동하였고, 1962년에 집체시 「인민은 노래한다」를 발표하였다. 1992년에 『박팔양시선집』이 1959년 판보다 훨씬 보완되어 재간행되었다.
■ 엮은이 : 유성호
1964년 경기도 여주에서 출생하여 서울에서 자랐다.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문학석사,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와 한국교원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를 역임하였고, 현재 한양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서울신문》 신춘문예 문학평론에 당선하여 문학평론가로 활동하고 있으며, 대산창작기금, 김달진문학상, 유심작품상, 편운문학상 등을 수상하였다. 저서로 『한국 현대시의 형상과 논리』『상징의 숲을 가로질러』『침묵의 파문』『한국 시의 과잉과 결핍』『현대시 교육론』『문학 이야기』『근대시의 모더니티와 종교적 상상력』『움직이는 기억의 풍경들』 등이 있으며, 편서로는 『박영준 작품집』 『나의 침실로(외) : 이상화 편』 등이 있다.
현실성과 서정성 사이의 갈등과 통합!
서정의 시인 박팔양의 시세계를 조명한 시선집!
식민지 시대와 분단 시대를 관통하면서 오랫동안 작품 활동을 했던 여수 박팔양의 시편들을 모은 『박팔양 시선집』이 <한국문학의 재발견-작고문인선집> 시리즈로 현대문학에서 출간되었다. 박팔양은 중층적 현실에 대응하여 서정시를 통해 꾸준히 시적 모색을 한 작가이다. 그는 식민지 근대, 정치 사회적 관심과 시 내부로 응축해 들어가는 서정성을 양대 기조로 하여 많은 시편을 창작하였다. 특히 균질적이지 못했던 당대의 정신사에 대응하여 가작들을 산출해낸 점과, 일관되게 관류하는 민족 현실에 대한 관심 또한 그의 시인적 면모를 드러내는 핵심적 지표라 평가해도 손색이 없을 것이다.
박팔양은 초기 사회주의 운동사에서 매우 커다란 비중을 차지했던 사상 단체 <서울청년회>와 정지용, 김용준, 김화산 등과 함께 편찬한 문예동인지 《요람搖藍》의 일원이었다. 또한 조선전위기자동맹에 참여하기도 했는데, 특히 주목해야 할 사실은 《중앙일보》 기자 시절에 그가 당시 프로 문학과는 사상적, 미학적 대척점에서 활동하던 그룹인 구인회 후기 동인으로 참여했다는 사실이다. 8.15 해방 이후 그는 북조선예술총동맹의 부위원장 겸 출판국장을 맡게 된다. 한국전쟁 때는 종군작가로 활약하였고, 이후 문학예술총동맹 중앙위원을 비롯하여, 작가동맹 부위원장, 조?소 친선협회 중앙위원으로 있으면서 예술대표 단장으로 소련, 폴란드, 동독 등을 순방하는 등 북한 문단의 지도자로 활약한다.
박팔양 시의 특징은 센티멘털리즘을 주조로 하고 있기는 하지만 시적 대상을 한결같이 고립된 내면이 아닌 사회 현실에서 취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시적 속성은 1920년대 중반을 지나면서 당대의 주요 담론으로 부상하게 되는 사회주의의 영향을 겪으면서 궁핍한 민족 현실에 대한 강한 관심과 시적 형상화로 이어지게 된다. 그가 견지했던 사회주의 사상이나 가난한 민중들에 대한 애정, 그리고 여러 실험적 정열 등이 서정성 짙은 민중적 휴머니즘으로 수렴되었던 것이다. 그 가운데서도 일종의 예언자 의식을 자연 사물에 의탁하여 형상화한 작품들과 생명적 원천으로서의 자연을 형상화한 시편들이 가장 돋보인다. 그 어떤 시인들보다 북한 사회의 이념 자체에 대한 강박이 덜한 서정성 높은 작품을 썼다는 사실도 강조될 수 있을 것이다.
* <한국문학의 재발견-작고문인선집>은 문학사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나 작품이 제대로 정리되어 있지 않은 작고문인들의 충실한 작품집을 발간하기 위해 기획된 시리즈이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지원하고 현대문학이 펴내는 이 총서는 앞으로 한국문학사의 가치를 정리·보존해 궁극적으로는 우리 문학의 위상을 확립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