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학의 재발견―작고문인선집>을 펴내며
한국현대문학은 지난 백여 년 동안 상당한 문학적 축적을 이루었다. 한국의 근대사는 새로운 문학의 씨가 뿌리를 내리고 성장하고 좋은 결실을 맺기에는 너무나 가혹한 난세였지만, 한국현대문학은 많은 꽃을 피웠고 괄목할 만한 결실을 축적했다. 뿐만 아니라 스스로의 힘으로 시대정신과 문화의 중심에 서서 한편으로 시대의 어둠에 항거했고 또 한편으로는 시대의 아픔을 위무해왔다.
이제 한국현대문학사는 한눈으로 대중할 수 없는 당당하고 커다란 흐름이 되었다. 백여 년이란 긴 세월은 뒤돌아보는 것을 점점 어렵게 만들며, 엄청난 양적인 팽창은 보존과 기억의 영역 밖으로 넘쳐나고 있다. 그리하여 문학사의 주류를 형성하는 일부 시인 작가와 그들의 작품들을 제외한 나머지 많은 문학적 유산들은 자칫 일실의 위험에 처해 있는 것처럼 보인다.
물론 문학사적 선택의 폭은 세월이 흐르면서 점점 좁아질 수밖에 없고, 시대적 의의를 지니지 못한 작품들은 망각의 뒤편으로 사라지는 것이 순리다. 그러나 아주 없어져서는 안 된다. 그것들은 그것들 나름대로 소중한 문학적 유물이다. 그것들은 미래의 새로운 문학의 씨앗을 품고 있을 수도 있고, 새로운 창조의 촉매 기능을 숨기고 있을 수도 있다. 그런가 하면 미래의 새로운 문학사에서 화려하게 부활할지도 모른다. 다만 유의미한 과거라는 차원에서라도 그것들은 잘 정리되고 보존되어야 한다.
이러한 당위적 인식이, 2006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문학소위원회에서 정식으로 논의되었다. 그 결과, 한국의 문화예술의 바탕을 공고히 하기 위한 공적 작업의 일환으로, 문학사의 변두리에 방치되어 있다시피 한 한국문학의 유산들을 체계적으로 정리, 보존하기로 결정되었다. 그리고 작업의 과정에서 새로운 의미나 새로운 자료가 재발견될 가능성도 예측되었다.
그러나 방대한 문학적 유산을 정리하고 보존하는 것은 시간과 경비와 품이 많이 드는 어려운 일이다. 최초로 이 선집을 구상하고 기획하고 실천에 옮겼던 문화예술위원회의 위원선생님들과 담당자들, 그리고 문학적 안목과 실사적 성실성을 갖고 참여해준 연구자들, 또 문학출판의 권위와 경륜을 바탕으로 출판을 맡아준 현대문학사가 있었기에 이 어려운 일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런 사업을 이런 수준에서 해낼 수 있을 만큼 우리의 문화적 역량이 성장했다는 뿌듯함도 느낀다.
<한국문학의 재발견-작고문인선집>은 한국현대문학의 내일을 위해서 한국현대문학의 어제를 잘 보관해둘 수 있는 공간으로써 마련된 것이다. 문인이나 문학연구자들뿐만 아니라 보다 많은 사람들이 이 공간에서 시대를 달리하며 새로운 의미와 가치를 발견하기를 기대해본다.
2010년 1월
출판위원 염무웅, 이남호, 강진호, 방민호
소설
촉루 / 준동蠢動 / 동요動搖 / 미로: 어느 연대年代의 기록 / 범가족凡家族 / 업고業苦 / 헛되인 우상 / 우울증 / 여수旅愁 / 단장短章 / 부상관扶桑館의 봄 / 행복 / 색상자色箱子 / 만년기晩年記 / 검은 흙과 흰 얼굴 / 해변 / 청향구淸鄕區―신생지나통신新生支那通信 / 나무의 일생 / 푸른 언덕 / 붕익鵬翼
산문
꿈 / 담담기淡?記 / 공수방관기拱手傍觀記 / 요절한 그들의 면영面影―불쌍한 이상李箱 / ‘유미에’론論 / 소설가의 아버지―아버지의 눈 / 제복 입는 도시: NO.3―화장 없는 거리 / 고독 / 작중인물지―‘나’와 그들 / 작중인물지 2―나와 그들 / 신체제하의 여余의 문학 활동 방침―국민문학에 영도領導 / 낙랑고분군 ? 기타 / 전승戰勝의 수필―엄숙한 의무 / 새로운 국민문예의 도―작가의 마음가짐 ? 기타 / 신록잡기 / 작가 개척지행(전기前記)―만주행 전기前記 / 옥토의 표정―‘반도 개척민 부락 풍경’ 중의 하나 / 개척민 부락장 현지 좌담회: 좌담회 전기 / 불초의 자식들 / 다케야마 대위에 대한 일들
해설_총력전 체제하의 정인택 문학의 좌표
■ 지은이 : 정인택
1909년 9월 12일 서울 안국정에서 출생. 1927년 경성제국대학에 입학했으나 곧 중퇴하고 동경으로 건너갔다. 1930년 1월 사회주의자의 좌절과 전향을 다룬 「준비」가 《중외일보》 현상공모 2등에 당선되면서 등단하였다. 1934년 매일신보사에 입사하면서 박태원, 이상과 어울려 다녔다. 1939년 5월 매일신보사 학예부에서 문장사로 옮기면서 당시 편집장이었던 이태준과 함께 《문장》 편집에 참여하면서 본격적인 창작활동에 들어갔다. 1940년 10월 문장사를 사직하고 매일신보사에 재입사하면서 일제의 문예정책에 참여하기 시작했다. 1945년 3월 22일 제3회 ‘국어문학총독상’을 수상하였다. 해방 후 정인택은 과거 자신의 과오를 청산하고 대한민국에 충성을 다할 것을 맹세하였다. 1950년 보도연맹에서 근무하였다. 그 후 전쟁의 동란 중에 부인과 세 딸을 데리고 월북했다가 1953년 북에서 사망하였다.
■ 편역자 : 이혜진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하고 민족문제연구소 연구원으로 『친일인명사전』 편찬에 참여하였다. 현재는 도쿄외국어대학 총합국제학연구원에서 연구원으로 공부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전쟁과 문학: 총력전하의 ‘전쟁문학’의 작법?, ?총력전 체제하의 정인택 문학의 좌표? 등이 있으며, 『녹기연맹』(공역), 『화폐란 무엇인가』(근간) 등을 번역하였다.
서구 모더니즘 문화의 정수를 선보였던 모던 보이에서,
일본 총력전 체제하의 국민문학 작가로 전향한 대표 작가!
비극적인 역사적 상황에서 현실을 거부하지 못했던 정인택의 작품 세계를 만난다.
현대문학에서 <한국문학의 재발견-작고문인선집> 시리즈의 하나로 정인택의 작품들을 모아 『정인택 작품집』을 출간하였다. 정인택은 일제 시대 총력전 체제에 직면하여 국민문학으로 전향한 대표적 문인이다. 이 작품집에는 박태원, 이상, 이태준 등과 교우하던 모던보이 정인택이 체제 협력적인 작품을 쓰면서 변모하는 과정이 여실히 드러난다. 특히 일본어로 발표되었던 정인택의 소설과 산문을 최초 한글로 번역 상재하여 일제 강점기 총력전 체제하에서 국민문학을 수행한 전향 작가 정인택의 면면을 살펴볼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정인택은 계몽운동가이자 언론가, 정치가인 정운복의 차남으로 태어나 일찍이 부모를 여의고 의사였던 형 정민택의 보호 속에서 성장했다. 경성제대를 중퇴하고 막연히 일본에 유학을 갔다 돌아온 후 1930년에 사회주의자의 좌절과 전향을 다룬 「준비」가 《중외일보》에 당선되면서 등단하였다. 귀국 후 매일신보사에 입사하여 박태원, 이상 등과 교분을 맺게 되는데 이때 이상이 경영하던 카페 <쓰루>의 여급이었던 권영희와 결혼한다. 이상, 정인택, 권영희의 삼각관계 속에서 이상의 사회로 결혼식을 올렸다는 에피소드가 남아있을 정도로 파격적인 결혼이었다.
정인택은 이태준과 함께 《문장》 편집에 참여하면서 본격적인 창작 활동에 들어간다. 그러나 심리주의적 작풍의 예술파적 면모를 보이던 정인택의 작품은 이때부터 서서히 변모하여 점점 일제 치하에 체제협력적 의도를 표출하는 작품을 발표하기 시작한다.
초기 정인택의 작품은 내부 심리 묘사에 치우치는 경향을 나타내며 이상, 최명희, 허준 등의 작품 경향과 동일선상에 놓여 있었다. 그는 룸펜 혹은 모던보이의 자의식을 그린 작가로 평가되었다. 그러다가 식민지 조선의 많은 작가가 그랬듯 일제의 총력전 체제하 ‘문필보국’으로 흡수되면서 마침내 ‘국민문학’의 한 획을 긋는 작가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정인택은 일제 강점기에는 일제의 체제 협력 이데올로기를 생산하기 위한 문학작품을 창작하고, 해방 이후에는 대한민국에 충성을 다할 것을 맹세하며 반공단체인 보도연맹에서 근무하기도 하는 등 시대의 소용돌이에 휩쓸린 대표적 지식인이다. 그러나 그의 산문 곳곳에서 보이듯 수암으로 죽어가는 아들을 애처롭게 바라보는 아버지, 죽음을 목전에 두고는 단신으로 월북해 있던 친구 박태원에게 자신의 부인을 부탁한다는 유언을 남기고 죽을 만큼 자상했던 남편, 돌아가신 아버지를 따뜻하게 회상하는 아들로서의 면모도 엿볼 수 있다.
정인택의 삶과 문학은 언어를 지닌 인간존재의 비극성을 여실히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작품집이 과거를 강렬하게 환기시키는 계기가 되고, 이를 반면교사 삼아 다시는 그러한 비극적 역사가 반복되지 않기를 바랄 뿐이다.
* <한국문학의 재발견-작고문인선집>은 문학사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나 작품이 제대로 정리되어 있지 않은 작고문인들의 충실한 작품집을 발간하기 위해 기획된 시리즈이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후원하고 현대문학이 펴내는 이 총서는 앞으로 한국문학사의 가치를 정리·보존해 궁극적으로는 우리 문학의 위상을 확립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