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학의 재발견―작고문인선집〉을 펴내며
한국현대문학은 지난 백여 년 동안 상당한 문학적 축적을 이루었다. 한국의 근대사는 새로운 문학의 씨가 싹을 틔워 성장하고 좋은 결실을 맺기에는 너무나 가혹한 난세였지만, 한국현대문학은 많은 꽃을 피웠고 괄목할 만한 결실을 축적했다. 뿐만 아니라 스스로의 힘으로 시대정신과 문화의 중심에 서서 한편으로 시대의 어둠에 항거했고 또 한편으로는 시대의 아픔을 위무해왔다.
이제 한국현대문학사는 한눈으로 대중할 수 없는 당당하고 커다란 흐름이 되었다. 백여 년의 세월은 그것을 뒤돌아보는 것조차 점점 어렵게 만들며, 엄청난 양적인 팽창은 보존과 기억의 영역 밖으로 넘쳐나고 있다. 그리하여 문학사의 주류를 형성하는 일부 시인·작가들의 작품을 제외한 나머지 많은 문학적 유산들은 자칫 일실의 위험에 처해 있는 것처럼 보인다.
물론 문학사적 선택의 폭은 세월이 흐르면서 점점 좁아질 수밖에 없고, 보편적 의의를 지니지 못한 작품들은 망각의 뒤편으로 사라지는 것이 순리다. 그러나 아주 없어져서는 안 된다. 그것들은 그것들 나름대로 소중한 문학적 유물이다. 그것들은 미래의 새로운 문학의 씨앗을 품고 있을 수도 있고, 새로운 창조의 촉매 기능을 숨기고 있을 수도 있다. 단지 유의미한 과거라는 차원에서 그것들은 잘 정리되고 보존되어야 한다. 월북 작가들의 작품도 마찬가지이다. 기존 문학사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된 작가들을 주목하다보니 자연히 월북 작가들이 다수 포함되었다. 그러나 월북 작가들의 월북 후 작품들은 그것을 산출한 특수한 시대적 상황의 고려 위에서 분별 있게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당위적 인식이, 2006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문학소위원회에서 정식으로 논의되었다. 그 결과, 한국의 문화예술의 바탕을 공고히 하기 위한 공적 작업의 일환으로, 문학사의 변두리에 방치되어 있다시피 한 한국문학의 유산들을 체계적으로 정리, 보존하기로 결정되었다. 그리고 작업의 과정에서 새로운 의미나 새로운 자료가 재발견될 가능성도 예측되었다. 그러나 방대한 문학적 유산을 정리하고 보존하는 것은 시간과 경비와 품이 많이 드는 어려운 일이다. 최초로 이 선집을 구상하고 기획하고 실천에 옮겼던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위원들과 담당자들, 그리고 문학적 안목과 학문적 성실성을 갖고 참여해준 연구자들, 또 문학출판의 권위와 경륜을 바탕으로 출판을 맡아준 현대문학사가 있었기에 이 어려운 일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런 사업을 해낼 수 있을 만큼 우리의 문화적 역량이 성장했다는 뿌듯함도 느낀다.
<한국문학의 재발견-작고문인선집>은 한국현대문학의 내일을 위해서 한국현대문학의 어제를 잘 보관해둘 수 있는 공간으로서 마련된 것이다. 문인이나 문학연구자들뿐만 아니라 더 많은 사람들이 이 공간에서 시대를 달리하며 새로운 의미와 가치를 발견하기를 기대해본다.
2010년 12월
출판위원 김인환, 이숭원, 강진호, 김동식
제1부 시
포도鋪道를 거르면서 / 빈자貧者의 봄 / 규환叫喚 / 동정
제2부 소설
벙어리 / 게시판과 벽소설 / 자유노동자 / B촌 삽화 / 어느 노인의 죽음 / 전차 타는 여인 /
신경쇠약 / 불사춘不似春 / 그 여자의 운명 / 들에 서서 / 투석 / 오빠와 애인 /
그의 승리 / 눈 / 김 첨지 / 좀 / 그 전날 밤
제3부 희곡
낙랑공주 / 두루쇠 / 새벽의 노래
제4부 평론·기타
‘카프’의 새로운 전환과 최근의 문제 / 이광수론李光洙論 / 작가가 본 평가平家―임화林和 /
문단확청론文壇廓淸論 / 속문단확청론 / 늙어가는 조선 문단 / 문단확청론 여운 /
무기염無氣焰의 변辯 / 보도연습報道演習 유감 / 여성과 문화 /
문학운동의 신방향―옳은 노선을 위하여 / 혁명기의 새 문학―문학자여, 인민 속으로!
해설_이동규의 생애와 작품 세계
■ 지은이 : 이동규
1911년 9월 8일 서울에서 출생했고 호는 철아鐵兒다. 1930년 몇 편의 시를 투고하다가 1931년 12월 《아등》에 벽소설 『벙어리』를 발표하고, 1932년 카프에 가입하면서 본격적인 문학 활동을 시작했다. 이후 소설가이자 극작가, 아동문학가, 평론가로서 활발히 활동했다. 해방 이전에는 식민지 현실에서 고통스럽고 소외된 삶을 살아나가는 각계각층의 모습을 형상화한 『자유노동자』, 『불사춘』, 『신경쇠약』 같은 작품들을 주로 창작하면서 희곡 『낙랑공주』, 장편소설 『대각간 김유신』 같은 역사물도 발표했다. 1946년 초반 월북해 북조선문학예술총동맹의 중앙상임위원이 되었으며, 이후 《민주조선》의 편집국장으로 활동하고, 평양사범대학 교수로 취임하는 등 북한 문단의 중심에서 활약했다. 해방 이후에는 이상적인 사회와 국가 건설이라는 주제 아래 일제 잔재가 청산되지 못하고 혼란과 혼돈을 거듭하는 상황을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눈』, 『좀』 등과 북한의 현실과 남한의 현실을 대비시키는 『그의 승리』, 『그 전날 밤』 등의 작품들을 썼다. 6.25 때 종군작가단 일원으로 남하했으나 월북길이 막혀 지리산에 입산, 빨치산 활동을 하다가 1952년 봄에 사살된 것으로 추정된다.
■ 엮은이 : 강혜숙
성신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현재 한양여자대학 강사다.
식민 시대에 소외된 계층의 삶을 문학적으로 형상화하여
지식인의 이상과 현실의 연결점을 모색한 작가 이동규!
식민 시대의 고통을 증언한 작가 이동규의 100주기를 기념하는 『이동규 선집』이 현대문학에서 발간하는 <한국문학의 재발견-작고문인선집>의 하나로 출간되었다. 철아鐵兒 이동규는 식민지 작가의 저주받은 운명을 회피하기는커녕 한발 더 나아가 노동자, 농민을 위한 계급문학과 당대의 또 다른 피지배 계급인 여성의 봉건적 삶 및 식민 시대 지식인의 전망 없는 우울한 정체성까지 그의 문학적 영토 안에 포함시킨 작가다.
이동규는 일제의 식민 통치가 본격화되는 1911년 서울 인왕산 기슭에서 태어났는데 그 외에 가족관계나 성장기, 학창 시절 등은 잘 알려지지 않았다. 다만 자유노동을 하면서 문학 수업을 했다는 단편적인 언급만 있을 뿐이다.
본격적인 등단은 1931년 약관 20세에 발표한 ?벙어리?라는 소위 ‘벽소설’을 통해서다. 이 벽소설은 노동자와 농민을 예상 독자로 하여 공장 게시판 등에 붙여서 읽는, 선동적이고 호소적인 내용을 담은 짧은 소설을 가리킨다. 이처럼 처음부터 작가로서의 이념적 세계관이 뚜렷했던 이동규는 등단 이후 카프의 일원으로 활동하면서 단편소설 ?우박?, ?자유노동자?, ?B 촌 삽화?를 발표하는 등 본격적인 창작 활동을 펼쳤다.
이동규는 카프와 관련하여 1934년 수감되었다가 1년 만에 풀려났고, 카프가 해체된 후에는 여성의 억압적인 삶에 문학적 역량을 쏟았다. 여성을 주인공으로 그린 작품으로 ?전차 타는 여인?, ?불사춘?, ?그 여자의 운명? 등이 있는데, 그에게 여성 문제는 단순한 연민이 아닌 계급적 차원의 문제였다. 경제적 해방 없이는 남녀평등을 부르짖는다 해도 여성의 완전한 해방을 기대할 수 없다고 주장하면서 결국 노동자, 농민의 삶이나 여성의 삶이 서로 다른 것이 아닌, 경제권을 획득하지 못한 고통스럽고 소외된 삶이라는 동일한 범주임을 문학적으로 형상화하려 했다. 또 다른 관심사인 지식인에 관한 작품으로는 ?어느 노인의 죽음?, ?신경쇠약?, ?들에 서서? 등이 있는데 특히 사회주의 사상을 가진 지식인들이 식민의 현실 앞에서 전망을 잃고 방황하는 모습을 사실적으로 그려내어 지식인의 이상과 현실의 연결점을 모색했다.
해방 후 그는 이상적인 사회와 국가 건설을 위해 일제 잔재의 청산을 외치며 분열과 대립이 난무하던 상황을 비판하는 작품과 평론을 활발하게 발표했다. ?눈?, ?김 첨지?, ?오빠와 애인?, ?좀? 등이 이 시기의 작품이다. 그러나 이러한 활동이 좌절되면서 1946년에 월북을 감행한다.
이동규는 6?25가 발발하자 종군작가단 소속으로 전선에 투입되어 경남 지역에서 활동했다. 이후 월북길이 막혀 이현상 휘하의 남부군 문화지도원으로 차출되었으며, 치열하게 빨치산 활동을 전개하다가 1952년 봄에 사살되어 최후를 맞이했다.
이동규는 우리나라 근현대사에서 가장 어둡고 고통받았던 시기를 최전선에서 활약한 작가다. 그는 일관되게 식민 시대에 소외된 계층의 삶을 문학적으로 형상화했고, 이를 소설가로서만이 아닌 극작가, 아동문학가, 평론가 등 다방면에 걸쳐 다양한 형식으로 표출했다. 그러나 작가 이동규는 월북문인에다 남부군 소속 빨치산이었다는 전력까지 더해지면서 분단 시대에 잊혀진 문인이 되었다. 이번 기회에 이동규의 작품들이 현대문학사의 <한국문학의 재발견-작고문인 선집>에서 발굴되어 출간된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다.
* <한국문학의 재발견-작고문인선집>은 문학사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나 작품이 제대로 정리되어 있지 않은 작고문인들의 충실한 작품집을 발간하기 위해 기획된 시리즈이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후원하고 현대문학이 펴내는 이 총서는 앞으로 한국문학사의 가치를 정리·보존해 궁극적으로는 우리 문학의 위상을 확립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