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학의 재발견 ― 작고문인선집〉을 펴내며
한국현대문학은 지난 백여 년 동안 상당한 문학적 축적을 이루었다. 한국의 근대사는 새로운 문학의 씨가 싹을 틔워 성장하고 좋은 결실을 맺기에는 너무나 가혹한 난세였지만, 한국현대문학은 많은 꽃을 피웠고 괄목할 만한 결실을 축적했다. 뿐만 아니라 스스로의 힘으로 시대정신과 문화의 중심에 서서 한편으로 시대의 어둠에 항거했고 또 한편으로는 시대의 아픔을 위무해왔다.
이제 한국현대문학사는 한눈으로 대중할 수 없는 당당하고 커다란 흐름이 되었다. 백여 년의 세월은 그것을 뒤돌아보는 것조차 점점 어렵게 만들며, 엄청난 양적인 팽창은 보존과 기억의 영역 밖으로 넘쳐나고 있다. 그리하여 문학사의 주류를 형성하는 일부 시인·작가들의 작품을 제외한 나머지 많은 문학적 유산들은 자칫 일실의 위험에 처해 있는 것처럼 보인다.
물론 문학사적 선택의 폭은 세월이 흐르면서 점점 좁아질 수밖에 없고, 보편적 의의를 지니지 못한 작품들은 망각의 뒤편으로 사라지는 것이 순리다. 그러나 아주 없어져서는 안 된다. 그것들은 그것들 나름대로 소중한 문학적 유물이다. 그것들은 미래의 새로운 문학의 씨앗을 품고 있을 수도 있고, 새로운 창조의 촉매 기능을 숨기고 있을 수도 있다. 단지 유의미한 과거라는 차원에서 그것들은 잘 정리되고 보존되어야 한다. 월북 작가들의 작품도 마찬가지이다. 기존 문학사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된 작가들을 주목하다보니 자연히 월북 작가들이 다수 포함되었다. 그러나 월북 작가들의 월북 후 작품들은 그것을 산출한 특수한 시대적 상황의 고려 위에서 분별 있게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당위적 인식이, 2006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문학소위원회에서 정식으로 논의되었다. 그 결과, 한국의 문화예술의 바탕을 공고히 하기 위한 공적 작업의 일환으로, 문학사의 변두리에 방치되어 있다시피 한 한국문학의 유산들을 체계적으로 정리, 보존하기로 결정되었다. 그리고 작업의 과정에서 새로운 의미나 새로운 자료가 재발견될 가능성도 예측되었다. 그러나 방대한 문학적 유산을 정리하고 보존하는 것은 시간과 경비와 품이 많이 드는 어려운 일이다. 최초로 이 선집을 구상하고 기획하고 실천에 옮겼던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위원들과 담당자들, 그리고 문학적 안목과 학문적 성실성을 갖고 참여해준 연구자들, 또 문학출판의 권위와 경륜을 바탕으로 출판을 맡아준 현대문학사가 있었기에 이 어려운 일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런 사업을 해낼 수 있을 만큼 우리의 문화적 역량이 성장했다는 뿌듯함도 느낀다.
<한국문학의 재발견-작고문인선집>은 한국현대문학의 내일을 위해서 한국현대문학의 어제를 잘 보관해둘 수 있는 공간으로서 마련된 것이다. 문인이나 문학연구자들뿐만 아니라 더 많은 사람들이 이 공간에서 시대를 달리하며 새로운 의미와 가치를 발견하기를 기대해본다.
2013년 4월
출판위원 김인환, 이숭원, 강진호, 김동식
■ 차례
제1부_소설
환상곡幻想曲
오늘
거리距離
의자의 풍경
213호 주택
부녀상
백호白虎 그루우프
모녀상
어설픈 독백
고목의 유령幽靈
아이스만 견문기
진공지대
문씨 일가의 여가餘暇
책상이 있는 풍경
불쾌지수 85
제2부_평론·수필·기타
현대인에 있어서의 성격의 문제
하나의 세계의 발견을
소설가가 된 동기와 이유
소월의 자살
자기소외
소설을 쓴다는 것
신인의 마음
영원한 우정
내 마음에 혁명을 준 여인에게
자기소외와 현대의 시대적 상황
해설_현대사회의 소외의식을 형상화한 김광식
작가 연보
작품 목록
연구 목록
■ 지은이 : 김광식
1921년 평안북도 용천에서 출생하였으며, 호는 청암靑巖이다. 1939년 선천상업학교를 졸업하고 도일하여 고학으로 1943년 메이지대학 문예과에서 수학했다. 졸업하자마자 일제의 학병 징집을 피해 만주 지방을 전전하다가 1944년 만주흥업은행 지점에서 근무하기도 했다. 1945년 8·15 해방으로 귀국한 뒤 신의주 남고녀 교사로 근무하다가 1947년 월남, 서울고등학교 교사와 경기대학교 국어국문과 교수로 재직했다.
1954년 단편「환상곡」을《사상계》에 발표하며 문단 생활을 시작했으며 1956년에는「213호 주택」을《문학예술》에 발표하고 현대문학 신인상을 수상한다. 1957년 제1창작집『환상곡』을 펴냈으며 이후 세 권의 창작집과 수필, 서평, 잡문 모음집인『문학적 인생론』을 발표했다. 1989년 평안북도문학상, 1991년 한국소설문학상, 1996년 보관문화훈장을 수상했으며, 2002년 여든한 살의 나이로 서울에서 사망했다.
■ 엮은이 : 방금단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학위 논문으로는「황순원 소설 연구-유랑의식을 중심으로」가 있으며, 저서로는『국어 교과서와 국가 이데올로기』(공저)가 있다.
전후세대 작가이면서 전전세대의 의식을 가지고,
현대 도시에서 살아가는 지식인의 소외의식을 형상화한 작가
현대문학에서 <한국문학의 재발견-작고문인선집> 시리즈의 하나로『김광식 선집』을 출간하였다. 1921년 평안북도 용천에서 태어난 김광식은 1954년 《사상계》를 통해 단편「환상곡」을 발표하면서 문인생활을 시작하게 된다. 그가 문단에 들어선 때는 6·25 직후라 신인 등용의 제도가 없었기 때문이다.
김광식은 전후세대 글을 발표하기 시작한 작가이지만, 그의 작품은 전전세대의 의식을 품고 있다. 이는 김광식이 자신의 인생에서 겪어야만 했던 태평양전쟁과 6·25전쟁이라는 두 큰 전쟁이 인간의 삶을 황폐화시켰다고 보는 작가 의식이 표출된 것으로 보인다. 김광식은 두 전쟁으로 인해 식민지 지식인, 학병 도피자, 월남, 부산 피란살이, 수복 후 서울에 정착하는 커다란 변화를 겪어야만 했고 이는 당연히 작가의 심리적 측면에 지대한 영향력을 끼칠 수밖에 없다. 또한 김광식의 삶을 살펴보면 유년 시절을 제외한 거의 모든 시간을 동경, 잉커우, 부산, 서울 등 도시의 한 중심에서 생활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그는 자신의 작품에 도시인의 비극성을 문제의식으로 표출할 수 있는 지식인들을 형상화한다.
김광식의 작품에서 도시는 지식인에 속한 인간들이 문명화가 갖고 있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노출하는 배경으로 작용한다. 이 때문에 작중인물들은 거의 예외 없이 박탈감, 결핍감, 상실감, 무력감, 고립감, 불안, 공허 등을 보인다. 작가는 이 도시를 통해 인간이 갖고 있는 소외의식을 드러낸 것이다. 한국전쟁 후 우리나라 문단에 유입된 소외의 개념은 역사철학적 관점으로 김광식의 소설에서 작가의식으로 드러나고 있는 소외도 이와 궤를 같이한다.
김광식의 소설에서 표현되는 소외의식은 서구적 근대화에서 나타날 수 있는 현상일 뿐만 아니라 한국전쟁 이후 한국인의 고유한 삶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인간 삶의 문제를 전제로 하고 있다. 김광식은 다른 전후 작가들처럼 전쟁의 체험을 사실적으로 재현하는 것에서 벗어나, 그것보다는 전후의 일상을 살아가는 인간의 삶의 형상화에 더 치중한다. 즉 한국전쟁 이후 본격적인 자본주의화에 따라 급속하게 진행된 도시화와 일상생활의 변화에서 발생되는 한국 사회의 부정적인 면을 재현하고 있는 것이다.
김광식이 포착한 당대 사회의 비판적인 문제점들이 지금도 여전히 유효하다는 점에서 김광식은 한국 문학사에서 새롭게 평가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