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학의 재발견―작고문인선집〉을 펴내며
한국현대문학은 지난 백여 년 동안 상당한 문학적 축적을 이루었다. 한국의 근대사는 새로운 문학의 씨가 싹을 틔워 성장하고 좋은 결실을 맺기에는 너무나 가혹한 난세였지만, 한국현대문학은 많은 꽃을 피웠고 괄목할 만한 결실을 축적했다. 뿐만 아니라 스스로의 힘으로 시대정신과 문화의 중심에 서서 한편으로 시대의 어둠에 항거했고 또 한편으로는 시대의 아픔을 위무해왔다.
이제 한국현대문학사는 한눈으로 대중할 수 없는 당당하고 커다란 흐름이 되었다. 백여 년의 세월은 그것을 뒤돌아보는 것조차 점점 어렵게 만들며, 엄청난 양적인 팽창은 보존과 기억의 영역 밖으로 넘쳐나고 있다. 그리하여 문학사의 주류를 형성하는 일부 시인·작가들의 작품을 제외한 나머지 많은 문학적 유산들은 자칫 일실의 위험에 처해 있는 것처럼 보인다.
물론 문학사적 선택의 폭은 세월이 흐르면서 점점 좁아질 수밖에 없고, 보편적 의의를 지니지 못한 작품들은 망각의 뒤편으로 사라지는 것이 순리다. 그러나 아주 없어져서는 안 된다. 그것들은 그것들 나름대로 소중한 문학적 유물이다. 그것들은 미래의 새로운 문학의 씨앗을 품고 있을 수도 있고, 새로운 창조의 촉매 기능을 숨기고 있을 수도 있다. 단지 유의미한 과거라는 차원에서 그것들은 잘 정리되고 보존되어야 한다. 월북 작가들의 작품도 마찬가지이다. 기존 문학사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된 작가들을 주목하다보니 자연히 월북 작가들이 다수 포함되었다. 그러나 월북 작가들의 월북 후 작품들은 그것을 산출한 특수한 시대적 상황의 고려 위에서 분별 있게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당위적 인식이, 2006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문학소위원회에서 정식으로 논의되었다. 그 결과, 한국의 문화예술의 바탕을 공고히 하기 위한 공적 작업의 일환으로, 문학사의 변두리에 방치되어 있다시피 한 한국문학의 유산들을 체계적으로 정리, 보존하기로 결정되었다. 그리고 작업의 과정에서 새로운 의미나 새로운 자료가 재발견될 가능성도 예측되었다. 그러나 방대한 문학적 유산을 정리하고 보존하는 것은 시간과 경비와 품이 많이 드는 어려운 일이다. 최초로 이 선집을 구상하고 기획하고 실천에 옮겼던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위원들과 담당자들, 그리고 문학적 안목과 학문적 성실성을 갖고 참여해준 연구자들, 또 문학출판의 권위와 경륜을 바탕으로 출판을 맡아준 현대문학사가 있었기에 이 어려운 일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런 사업을 해낼 수 있을 만큼 우리의 문화적 역량이 성장했다는 뿌듯함도 느낀다.
<한국문학의 재발견―작고문인선집>은 한국현대문학의 내일을 위해서 한국현대문학의 어제를 잘 보관해둘 수 있는 공간으로서 마련된 것이다. 문인이나 문학연구자들뿐만 아니라 더 많은 사람들이 이 공간에서 시대를 달리하며 새로운 의미와 가치를 발견하기를 기대해본다.
2013년 4월
출판위원 김인환, 이숭원, 강진호, 김동식
제1부_시
초
가을
실솔??
시詩
단장短杖
창窓
모체母體
밤비
무가을
기적汽笛
옥수수
장춘대가長春大街
제2부_소설
탁류濁流
야한기夜寒記
습작실로부터
習作部屋から
습작실에서
잔등殘燈
한식일기寒食日記
황매일지黃梅日誌
임풍전 씨林風典氏의 일기
속습작실續習作室에서
평대저울
역사歷史
제3부_평론ㆍ수필ㆍ기타
나의 문학전前
오월의 기록
유월의 감촉
자서소전自序小傳
비평과 비평정신
근대비평정신의 추이
문학방법론
민족의 감격
소서小序
문학전 기록-임풍전 씨의 일기 서장
깃발을 날려라
임풍전의 일기-조선호텔의 일야一夜
일 년간 문학계의 회고와 전망
해설_허준의 생애와 작품 세계
■ 지은이 : 허준
1910년 2월 27일 평북 용천 출생. 중앙고보를 졸업하고 일본으로 건너가 호세이 대학에서 불문학을 전공하였다. 귀국 후 몇 편의 시를 발표하다 1936년 《조광》에 『탁류』를 발표하면서 소설가로 등단하였다. 해방 전에는 지식인의 고독한 내면심리를 묘사한 『탁류』, 『야한기』 등 모더니즘 계열의 소설을 주로 창작하였고 일본어 콩트 『습작실로부터』를 일본 잡지 《조선화보》에 발표하기도 하였다. 해방 이후에는 조선문학가동맹 서울시지부 부위원장을 지냈으며, 『잔등』 『한식일기』 『속 습작실에서』 『평대저울』 등의 작품을 발표하였다. 당대의 남한 현실에 대한 비판을 담은 소설 『황매일지』를 《민보》에 연재하는 한편 《문장》 속간호에 『역사』를 발표하다가 월북한다. 유일한 창작집으로 『잔등』이 있다.
■ 엮은이 : 서재길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한국 근대 방송문예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동경외국어대학 연구원, 서울대 기초교육원 강의교수를 거쳐 현재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K연구교수로 재직하면서 홍익대와 중앙대에서 한국 근대문학을 강의하고 있다. 저서로 『한국 개화기 소설 연구』(공저), 『한국 근대문학과 일본』(공저), 『한국 방송 80년, 그 역사적 조명』(공저), 『근대 한국의 일상생활과 미디어』(공저) 등이 있다.
허준 탄생 100주기(2010년)를 앞두고 현대문학에서 <한국문학의 재발견-작고문인선집> 시리즈의 하나로 허준의 작품들을 모아 『허준 전집』을 출간하였다. 특히 이번 전집에는 신문과 잡지에 연재된 허준의 시 11편 모두를 원문 그대로 수록하고 있어, 지면에 최초 발표된 이후 한 번도 작품집 형태로 발간된 적 없는 허준의 초기 문학 세계와 언어에 대한 자의식을 살피는 데 더없이 좋은 자료가 될 것이다. 또한 허준의 비평과 수필 그리로 기타 잡문들은 해방기 이후 허준 문학의 변모를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연구 자료로서의 가치를 지니고 있다. 《조선일보》에 시를 발표하며 문단 생활을 시작한 허준은 《조광》지에 「탁류」를 발표하면서 소설가로서의 길을 걷게 된다. 허준은 《조선일보》에서 편집국 기자와 교정부 기자를 오가면서 활동하였는데, 특히 든든한 친구였던 백석과, 허준의 등단작 「탁류」를 추천하며 ‘금일창작의 최고봉’이라 격찬해 마지않았던 백철과 교류하며 열렬한 지지를 받았다. 허준 소설의 주인공들은 주로 존재론적 의미의 불확정성 속에서 살 수밖에 없는 인간들의 숙명적 운명에 수긍하는 지식인들로, 스스로를 고독적·내면적·돌발적·답보적 체념을 위한 행동자로 규정하고 있다. 이런 방관자 성격을 가진 인물들은 해방 이후 현실 세계를 통해 변모하는 인물로 바뀐다. 특히 광복 후 순수문학이나 모더니즘문학을 고수했던 많은 작가들이 개인의 윤리문제와 시대의식에 관심을 쏟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발표된 허준의 「잔등」은 냉정한 관찰정신과 역사에 대한 중립성, 균형감각이 특히 주목되는 작품이다. 이 작품은 광복 전에 발표한 「탁류」 「야한기」 「습작실에서」 등에서 보여주었던 주인공의 허무주의와 냉정한 고백체의 성격은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이데올로기적 편견이나 맹목성이 없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받고 있다. 허준의 글쓰기는 당대 현실에 대한 작가의 신랄한 비판과 그 비판을 담아내는 문체로 식민지 시대의 분노와 복수심, 해방의 감격과 무질서를 뛰어넘는 새로운 인간 정신의 모색이라는 주제를 효과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허준은 김동리가 1930년대 후반 신세대 소설의 미학적 성격을 논하면서 허준 소설의 니힐리즘을 ‘강렬한 윤리적 의의’로 평가했던 것처럼, 폐쇄적 존재론에 갇혀 있는 주인공으로 하여금 타자에 의해 현실에 새롭게 눈뜨게 하는 과정을 통해 자신의 주체성을 정립해 나간 작가로 평가받을 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