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학의 재발견―작고문인선집〉을 펴내며
한국현대문학은 지난 백여 년 동안 상당한 문학적 축적을 이루었다. 한국의 근대사는 새로운 문학의 씨가 싹을 틔워 성장하고 좋은 결실을 맺기에는 너무나 가혹한 난세였지만, 한국현대문학은 많은 꽃을 피웠고 괄목할 만한 결실을 축적했다. 뿐만 아니라 스스로의 힘으로 시대정신과 문화의 중심에 서서 한편으로 시대의 어둠에 항거했고 또 한편으로는 시대의 아픔을 위무해왔다.
이제 한국현대문학사는 한눈으로 대중할 수 없는 당당하고 커다란 흐름이 되었다. 백여 년의 세월은 그것을 뒤돌아보는 것조차 점점 어렵게 만들며, 엄청난 양적인 팽창은 보존과 기억의 영역 밖으로 넘쳐나고 있다. 그리하여 문학사의 주류를 형성하는 일부 시인·작가들의 작품을 제외한 나머지 많은 문학적 유산들은 자칫 일실의 위험에 처해 있는 것처럼 보인다.
물론 문학사적 선택의 폭은 세월이 흐르면서 점점 좁아질 수밖에 없고, 보편적 의의를 지니지 못한 작품들은 망각의 뒤편으로 사라지는 것이 순리다. 그러나 아주 없어져서는 안 된다. 그것들은 그것들 나름대로 소중한 문학적 유물이다. 그것들은 미래의 새로운 문학의 씨앗을 품고 있을 수도 있고, 새로운 창조의 촉매 기능을 숨기고 있을 수도 있다. 단지 유의미한 과거라는 차원에서 그것들은 잘 정리되고 보존되어야 한다. 월북 작가들의 작품도 마찬가지이다. 기존 문학사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된 작가들을 주목하다보니 자연히 월북 작가들이 다수 포함되었다. 그러나 월북 작가들의 월북 후 작품들은 그것을 산출한 특수한 시대적 상황의 고려 위에서 분별 있게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당위적 인식이, 2006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문학소위원회에서 정식으로 논의되었다. 그 결과, 한국의 문화예술의 바탕을 공고히 하기 위한 공적 작업의 일환으로, 문학사의 변두리에 방치되어 있다시피 한 한국문학의 유산들을 체계적으로 정리, 보존하기로 결정되었다. 그리고 작업의 과정에서 새로운 의미나 새로운 자료가 재발견될 가능성도 예측되었다. 그러나 방대한 문학적 유산을 정리하고 보존하는 것은 시간과 경비와 품이 많이 드는 어려운 일이다. 최초로 이 선집을 구상하고 기획하고 실천에 옮겼던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위원들과 담당자들, 그리고 문학적 안목과 학문적 성실성을 갖고 참여해준 연구자들, 또 문학출판의 권위와 경륜을 바탕으로 출판을 맡아준 현대문학사가 있었기에 이 어려운 일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런 사업을 해낼 수 있을 만큼 우리의 문화적 역량이 성장했다는 뿌듯함도 느낀다.
<한국문학의 재발견―작고문인선집>은 한국현대문학의 내일을 위해서 한국현대문학의 어제를 잘 보관해둘 수 있는 공간으로서 마련된 것이다. 문인이나 문학연구자들뿐만 아니라 더 많은 사람들이 이 공간에서 시대를 달리하며 새로운 의미와 가치를 발견하기를 기대해본다.
2013년 4월
출판위원 김인환, 이숭원, 강진호, 김동식
환등幻燈
실비명失碑銘
외뿔소
파경破鏡
광풍狂風속에서
학춤
뻐꾸기
비풍悲風
풍속風俗
동면冬眠
지게부대
흐름 속에서
허민許民선생
관앞골 기억
편심
장태현章台峴시절
교련敎鍊과 나
탈피
교환 조건
재회再會
해설 _ 부조리 상황과 유머 그리고 인간미
작가 연보
작품 목록
연구 목록
■ 지은이 : 김이석
1914년 평양에서 태어나 평양 광성중학교 졸업 후 연희전문학교 문과를 중퇴. 1938년 「부어腐魚」가 《동아일보》에 입선되어 문단에 등단, 이 시점을 전후해 전위적인 성격의 순문예 동인지 《단층》 창간 멤버로서 평양에서 작품 활동을 시작하였다. 해방 후 공산 치하에서 칩거 생활을 하다 1·4 후퇴 때 월남해 1953년 《문학예술》 편집위원을 지냈으며, 1956년 단편 「실비명」으로 제4회 아세아 자유문학상을 수상하였다. 1958년 작가 박순녀와 혼인하면서 정착해 왕성한 작품 활동을 하였으며, 1962년 《한국일보》에 역사소설 『난세비화』를 연재하며 대중적 인기를 얻었다. 1964년 9월 18일 고혈압으로 사망, 생전의 문학적 업적으로 사후 서울시 문화상에 추서되었다.
■ 엮은이 : 이태동
문학평론가. 한국외국어대학교 영어과를 졸업하고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채플 힐) 대학원 영문과에서 석사 학위를, 서울대학교 대학원 영문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하버드 대학교 옌칭 연구소 초빙 연구원, 스탠퍼드 및 듀크 대학교 풀브라이트 연구 교수, 서강대학교 교수와 인문대 학장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서강대학교 영문과 명예교수다.
해방 공간과 한국전쟁 와중에 수많은 남한 문인들이 사회주의의 이상을 동경하여 이북으로 올라간 데 반해 북에서 남으로 내려온 문인들도 있었다. 김이석은 이렇게 월남한 문인들 중에서 가장 성공한 작가로 손꼽힌다. 현대문학사에서는 <한국문학의 재발견-작고문인선집> 시리즈의 하나로 김이석의 작품들을 모은 『김이석 소설 선집』을 출간했다.
1914년 7월 16일 평양에서 만석꾼 집안의 차남으로 태어난 김이석은 1936년 연희전문 문과를 중퇴하고 평양에서 《단층》이라는 동인지 활동을 시작했다. 김이석이 《단층》의 창간 동인으로서 추구한 것은 의식의 흐름을 중심으로 하는 모더니즘적인 심리소설 미학이었다. 1937년 스물세 살의 그가 《단층》에 발표한 처녀작 「환등」은 의식의 흐름 기법을 활용해 하룻밤 동안 주인공인 화자와 감옥에 갇힌 수인이라는 이중 구조로 엮인 심리 상태를 통해 억압적인 일제 식민지 상황을 상징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평양에서 문학 활동을 시작한 김이석은 지적인 면에서 이상 문학에 비유할 만큼 실험적인 소설을 발표했고 한국 모더니즘 소설의 전범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김이석은 해방 이후 북한 체제에서 칩거 생활을 하다가 1?4 후퇴 때 고향이자 주요 활동 무대이던 평양을 버리고 단신으로 월남했다. 김이석은 1954년 「실비명」을 발표하면서 남쪽에서 작가로서 제2의 삶을 시작했다. 이후 발표한 작품들은 매우 다양한 주제들을 다루고 있지만 이들 작품의 배경이나 소재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작품의 배경으로 평양이나 해방 이전 이북의 농촌을 다룬 것, 다른 하나는 한국전쟁의 비극과 피난민들의 처절한 애환을 다룬 것이다.
김이석은 경제적으로나 사회적으로 대단히 어려운 생활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당시 서정주, 김동리, 조연현 등을 중심으로 한 남한 문단에서 자신의 존재를 부각시킬 수 있을 만큼 역량 있는 작가였다. 그러나 월남 작가라는 한계로 인해 비평적 조명을 충분히 받지 못한 측면이 없지 않다.
그동안 이념 갈등으로 점철해온 시대 상황이 김이석 문학의 참된 가치를 있는 그대로 평가하고 탐색하는 것을 허락하지 않았던 면도 있다. 이제 이념적인 부분을 극복하려는 오늘의 시대정신이 김이석의 문학을 재평가할 기회를 마련했고 이는 우리 문학 발전을 위해 매우 의미 있는 일임에 분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