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학의 재발견―작고문인선집〉을 펴내며
한국현대문학은 지난 백여 년 동안 상당한 문학적 축적을 이루었다. 한국의 근대사는 새로운 문학의 씨가 싹을 틔워 성장하고 좋은 결실을 맺기에는 너무나 가혹한 난세였지만, 한국현대문학은 많은 꽃을 피웠고 괄목할 만한 결실을 축적했다. 뿐만 아니라 스스로의 힘으로 시대정신과 문화의 중심에 서서 한편으로 시대의 어둠에 항거했고 또 한편으로는 시대의 아픔을 위무해왔다.
이제 한국현대문학사는 한눈으로 대중할 수 없는 당당하고 커다란 흐름이 되었다. 백여 년의 세월은 그것을 뒤돌아보는 것조차 점점 어렵게 만들며, 엄청난 양적인 팽창은 보존과 기억의 영역 밖으로 넘쳐나고 있다. 그리하여 문학사의 주류를 형성하는 일부 시인·작가들의 작품을 제외한 나머지 많은 문학적 유산들은 자칫 일실의 위험에 처해 있는 것처럼 보인다.
물론 문학사적 선택의 폭은 세월이 흐르면서 점점 좁아질 수밖에 없고, 보편적 의의를 지니지 못한 작품들은 망각의 뒤편으로 사라지는 것이 순리다. 그러나 아주 없어져서는 안 된다. 그것들은 그것들 나름대로 소중한 문학적 유물이다. 그것들은 미래의 새로운 문학의 씨앗을 품고 있을 수도 있고, 새로운 창조의 촉매 기능을 숨기고 있을 수도 있다. 단지 유의미한 과거라는 차원에서 그것들은 잘 정리되고 보존되어야 한다. 월북 작가들의 작품도 마찬가지이다. 기존 문학사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된 작가들을 주목하다보니 자연히 월북 작가들이 다수 포함되었다. 그러나 월북 작가들의 월북 후 작품들은 그것을 산출한 특수한 시대적 상황의 고려 위에서 분별 있게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당위적 인식이, 2006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문학소위원회에서 정식으로 논의되었다. 그 결과, 한국의 문화예술의 바탕을 공고히 하기 위한 공적 작업의 일환으로, 문학사의 변두리에 방치되어 있다시피 한 한국문학의 유산들을 체계적으로 정리, 보존하기로 결정되었다. 그리고 작업의 과정에서 새로운 의미나 새로운 자료가 재발견될 가능성도 예측되었다. 그러나 방대한 문학적 유산을 정리하고 보존하는 것은 시간과 경비와 품이 많이 드는 어려운 일이다. 최초로 이 선집을 구상하고 기획하고 실천에 옮겼던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위원들과 담당자들, 그리고 문학적 안목과 학문적 성실성을 갖고 참여해준 연구자들, 또 문학출판의 권위와 경륜을 바탕으로 출판을 맡아준 현대문학사가 있었기에 이 어려운 일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런 사업을 해낼 수 있을 만큼 우리의 문화적 역량이 성장했다는 뿌듯함도 느낀다.
<한국문학의 재발견―작고문인선집>은 한국현대문학의 내일을 위해서 한국현대문학의 어제를 잘 보관해둘 수 있는 공간으로서 마련된 것이다. 문인이나 문학연구자들뿐만 아니라 더 많은 사람들이 이 공간에서 시대를 달리하며 새로운 의미와 가치를 발견하기를 기대해본다.
2013년 4월
출판위원 김인환, 이숭원, 강진호, 김동식
Ⅰ. 시 제1부_『생명의 과실』 이전의 시들 조로朝露의 화몽花夢 | 동경 | 고혹蠱惑 | 발자취 | 재롱 | 옛날의 노래여 | 향수 | 기도, 꿈, 탄식 | 환상 | 단장斷腸 | 언니 오시는 길에 | 언니의 생각 | 오오 봄! | 우리의 이상 | 싸움 | 그쳐요 | 유리관 속에서 | 남방 | 내 가슴에 | 저주 | 유언 | 분신 | 사랑하는 이의 이름 | 외로움 | 신시新詩 제2부_『생명의 과실』의 시들 길 | 내 가슴에 | 싸움 | 저주 | 분신 | 사랑하는 이의 이름 | 남방 | 옛날의 노래 | 외로움의 부름 | 위로慰勞 | 밀어 | 재롱 | 귀여운 내 수리 | 탄식 | 기도 | 꿈 | 유언 | 유리관 속에 | 그쳐요 | 바람과 노래 | 소소甦笑 | 무제 | 탄실의 초몽初夢 | 들리는 소리들 제3부_『생명의 과실』 이후의 시들 창궁蒼穹 | 언니 오시는 길에 | 5월의 노래 | 무제 | 무제 | 외로움의 변조變調 | 추억 | 향수 | 보슬비 | 그러면 가리까 | 언니의 생각 | 5월의 노래 | 만년청萬年靑 | 거룩한 노래 | 추억 | 해바라기 | 두어라 | 희망 | 불꽃 | 이심二心 | 추경秋景 | 비가悲歌 | 연가 | 비련悲戀 제4부_『애인의 선물』의 시들 봉춘逢春 | 추경秋景 | 애상哀想 | 저주된 노래 | 정절 | 불꽃 | 곽공郭公 | 희망 | 연모 | 두 마음 제5부_『애인의 선물』 이후의 시들 수건 | 수도원修道院으로 가는 벗에게 | 고구려성高句麗城을 찾아서 | 석공石工의 노래 | 나 하나 별 하나 | 빙화氷華 | 샘물과 같이 | 시로 쓴 반생기半生記 | 두벌 꽃 | 심야深夜에 | 바람과 노래 | 석공의 노래 | 부금조浮金彫 | 그믐밤 제6부_번역 시 웃음 | 비극적 운명 | 나는 찾았다 | 눈 | 주장酒場 | 대아大鴉 | 헬렌에게 | 빈민의 사死 | 저주의 여인들 Ⅱ. 희곡·각본 의붓자식(희곡) | 두 애인(각본) 해설―여성성을 절실하게 열다 · 맹문재
■ 지은이 : 김명순
1917년 최남선이 발행하던 《청춘》의 현상문예에 단편소설 「의심의 소녀」가 2등으로 당선되어 문단에 데뷔한 한국 최초의 여성 소설가이다. 또한 1925년 『생명의 과실』이라는 시집을 간행한 한국 최초의 여성 시인이며, 그 외에 많은 산문과 희곡 및 극본을 남기기도 했다. 김명순은 1896년 1월 20일 평안남도 평양군 융덕면에서 태어났다. 1911년 진명여학교를 졸업하고, 1917년 《청춘》으로 문단에 데뷔했다. 김동인, 전영택, 주요한 등과 《창조》의 동인으로 활동했으며, 일본 유학생 기관지 《학지광》 등에도 작품을 발표했다. 매일신보사에서 기자 생활을 했으며, 「꽃장사」 등의 영화에 주연으로 출연할 정도로 적극적인 삶의 모습을 보였다. 1930년(추정)에 두 번째 시집 『애인의 선물』을 출간했다. 1951년 즈음 일본에서 사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 엮은이 : 맹문재
1963년 충북 단양에서 태어나 고려대학교 국문학과 및 같은 대학원에서 수학했다. (공)편저로 『박인환 전집』 『페미니즘과 에로티즘 문학』『한국대표노동시집』『한국 근대여성의 일상문화』(9권) 『한국 현대여성의 일상문화』(8권)『한국 현대대표 시선』 등이 있다. 시집으로 『먼 길을 움직인다』『물고기에게 배우다』『책이 무거운 이유』, 시론집으로 『한국 민중시 문학사』『패스카드 시대의 휴머니즘 시』『지식인 시의 대상애』『현대시의 성숙과 지향』『시학의 변주』가 있다. 안양대학교 국문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 최초의 여성 소설가인 김명순의 시와 희곡 작품을 담은 『김명순 전집』이 현대문학에서 출간되었다. 김일엽, 나혜석과 함께 이른바 ‘신여성작가’로 불리며 시, 소설, 산문, 희곡 등 장르를 가리지 않고 활발한 작품 활동을 해온 김명순은 그 존재만으로 한국의 근대문학이 남성만이 아닌, 여성에 의해서도 주도되었음을 보여주는 작가이다. 남편에게 여자가 생긴 것을 사랑 없는 결혼 생활에서 벗어날 수 있는 기회로 생각하는 여자. 요즘 나오는 드라마 얘기인가 싶지만 사실은 한국 최초의 여성 소설가 김명순이 1930년에 내놓은 각본 「두 애인」의 주인공 이야기이다. 21세기에 봐도 현대적이며 파격적인 이 캐릭터를 일제 강점기, 아직 유교적인 사고방식이 지배하고 있던 시대에 탄생시킨 김명순은 과연 어떤 작가일까? 김명순은 1917년 단편소설 「의심의 소녀」로 문단에 데뷔한 후, 여성으로서는 최초로 문학 작품집 『생명의 과실』을 펴내며 당시 남자들이 판치던 문단의 빗장을 열었다. 일제 강점기, 여성의 사회 활동이 제한되던 사회에서 여자의 몸으로 문학을 한다는 것은 예사로운 일이 아니었다. 그러나 힘든 상황에서도 김명순은 자아 인식을 통한 남녀평등과 민족 해방이라는 일관된 주제로 작품 활동을 펴나간다. 이런 그녀를 바라보는 사회의 시선은 차갑기만 했다. 가부장적 남성주의가 팽배했던 세상이 그녀를 받아들이지 못한 것이다. 오히려 몇몇 남성 작가들은 김명순을 부도덕하고, 무능한 여성으로 매도하며 그녀의 작품까지도 폄하했고 결국 김명순으로 대표되던 한국 여성 문학은 제대로 피지도 못한 채 문학사의 그늘에서 시들어가게 된다. 이것이 바로 그녀의 이름이 낯선 이유이며, 한 여성으로서 겪어야 했던 세상의 불평등에 대해 온몸으로 저항해왔던 김명순이라는 한 인간에 대해 다시 읽어야 하는 이유이다. 그리고 지금, 김명순은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에게 모진 시련 속에서도 굴하지 않고 끊임없이 자유와 해방을 꿈꿔왔던 한 인간의 초상을 보여주고 있다. <한국문학의 재발견-작고문인선집> 시리즈로 편찬된 『김명순 전집』은 남성 위주의 문단에서 제대로 평가받지 못한 채 묻혀 있던 그녀의 작품 세계를 본격적으로 조명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