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학의 재발견―작고문인선집>을 펴내며
한국현대문학은 지난 백여 년 동안 상당한 문학적 축적을 이루었다. 한국의 근대사는 새로운 문학의 씨가 뿌리를 내리고 성장하고 좋은 결실을 맺기에는 너무나 가혹한 난세였지만, 한국현대문학은 많은 꽃을 피웠고 괄목할 만한 결실을 축적했다. 뿐만 아니라 스스로의 힘으로 시대정신과 문화의 중심에 서서 한편으로 시대의 어둠에 항거했고 또 한편으로는 시대의 아픔을 위무해왔다.
이제 한국현대문학사는 한눈으로 대중할 수 없는 당당하고 커다란 흐름이 되었다. 백여 년이란 긴 세월은 뒤돌아보는 것을 점점 어렵게 만들며, 엄청난 양적인 팽창은 보존과 기억의 영역 밖으로 넘쳐나고 있다. 그리하여 문학사의 주류를 형성하는 일부 시인 작가와 그들의 작품들을 제외한 나머지 많은 문학적 유산들은 자칫 일실의 위험에 처해 있는 것처럼 보인다.
물론 문학사적 선택의 폭은 세월이 흐르면서 점점 좁아질 수밖에 없고, 시대적 의의를 지니지 못한 작품들은 망각의 뒤편으로 사라지는 것이 순리다. 그러나 아주 없어져서는 안 된다. 그것들은 그것들 나름대로 소중한 문학적 유물이다. 그것들은 미래의 새로운 문학의 씨앗을 품고 있을 수도 있고, 새로운 창조의 촉매 기능을 숨기고 있을 수도 있다. 그런가 하면 미래의 새로운 문학사에서 화려하게 부활할지도 모른다. 다만 유의미한 과거라는 차원에서라도 그것들은 잘 정리되고 보존되어야 한다.
이러한 당위적 인식이, 2006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문학소위원회에서 정식으로 논의되었다. 그 결과, 한국의 문화예술의 바탕을 공고히 하기 위한 공적 작업의 일환으로, 문학사의 변두리에 방치되어 있다시피 한 한국문학의 유산들을 체계적으로 정리, 보존하기로 결정되었다. 그리고 작업의 과정에서 새로운 의미나 새로운 자료가 재발견될 가능성도 예측되었다.
그러나 방대한 문학적 유산을 정리하고 보존하는 것은 시간과 경비와 품이 많이 드는 어려운 일이다. 최초로 이 선집을 구상하고 기획하고 실천에 옮겼던 문화예술위원회의 위원선생님들과 담당자들, 그리고 문학적 안목과 실사적 성실성을 갖고 참여해준 연구자들, 또 문학출판의 권위와 경륜을 바탕으로 출판을 맡아준 현대문학사가 있었기에 이 어려운 일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런 사업을 이런 수준에서 해낼 수 있을 만큼 우리의 문화적 역량이 성장했다는 뿌듯함도 느낀다.
<한국문학의 재발견-작고문인선집>은 한국현대문학의 내일을 위해서 한국현대문학의 어제를 잘 보관해둘 수 있는 공간으로써 마련된 것이다. 문인이나 문학연구자들뿐만 아니라 보다 많은 사람들이 이 공간에서 시대를 달리하며 새로운 의미와 가치를 발견하기를 기대해본다.
2010년 2월
출판위원 염무웅, 이남호, 강진호, 방민호
제1부 시
삼만三萬의 형제兄弟들
백만 중百萬中의 동지同志
에레나의 수첩
붉은 깃발은 태양을 향하여 올라간다
무지개
생명
모쓰크바를 향하여
별
붉은 광장
고리끼 거리를 걸어간다
모쓰크바 대극장
뿌슈낀 동상 앞에서
아브로라에 부치노라
네바 강반에서
호텔 아스토리야에서
우크라이나의 어머니
제2부 평론
프로예술藝術의 형식 문제型式問題
맑스주의 예술비평의 기준
조직과 문학
조선 프로예술가의 당면의 긴급한 임무
조선朝鮮에 있어서 프롤레타리아 예술운동藝術運動의 현세現勢
1932년 문학 활동의 제 과제
조선 플롤레타리아 예술운동 약사
창작방법 문제의 재토의를 위하여
중간문학론
문예지 부진
논리의 퇴락
조선문학朝鮮文學과 예술藝術의 기본임무基本任務
조선 민족문화 건설과 소련 사회주의 문화
신정세新情勢와 민주주의 문화예술전선 강화의 임무
민족예술과 민족문학 건설의 고상한 수준을 위하여
해설_안막-문예 운동가, 무용 기획자, 문예 정책가로서의 삶
■ 지은이 : 안막
경기도 안성 출생. 본명은 필승安弼承, 필명은 추백萩白, 秋白. 와세다대학교에서 러시아문학을 전공했으며, 식민지 시기 카프문인으로 활동하며 2차 방향전환을 주도하였다. 무용가 최승희와의 결혼 이후 무용기획자로 활동하였다. 해방 이후 평양음악학원 초대학장, 문화선전성 부상副相 등 문예정책가로 활동하다가 1958년 연안파로 몰려 숙청당했다.
■ 역은이 : 전승주
부산 출생. 문학박사, 문학평론가. 서울대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신대 외래교수로 있으며, 저서로는 『한국 현대비평문학 탐구』등이 있다.
조선의 무용을 세계에 알린 공연 기획자, 안막
시인이자 프로문예 비평가로서 그가 문화사에 남긴 시와 평론 모음 최초 출간!
시인이자 프로문예 비평가인 안막이 문학사와 문화사에 남긴 업적을 모은 『안막 선집』이 현대문학에서 <한국문학의 재발견-작고문인선집> 시리즈의 하나로 출간되었다. 안막은 식민지 시대 프로문학의 방향 전환을 주도하고, 사회주의 리얼리즘론을 둘러싼 논쟁의 계기를 마련하는 등 문학사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했다. 뿐만 아니라 당대의 세계적 무용가였던 최승희와의 결혼 이후 1930년대 중반부터는 조선의 무용을 세계에 알리는 공연 기획가이자 매니저로서 활동한 바 있다. 하지만 문예 운동가로서나 공연 기획자로서 그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그의 비평 활동이 1930년부터 1933년 무렵까지 매우 짧은 기간에 국한되어 있으며, 그 기간 동안 쓴 평론도 10여 편 정도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안막에 대한 연구는 카프문학 혹은 프로비평의 범주에서 시각을 넓혀 문화사 전반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안막 선집』을 통해 평론 활동을 중심으로 아내 최승희의 무용 공연 기획가이자 매니저로서의 역할까지 고려하여 살펴봄으로써 안막이 우리 문학사와 문화사에 남긴 업적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1910년 경기도 안성에서 태어난 안막은 제2고등보통학교에 진학하며 학생운동에 적극 가담하였다. ‘조선 독립만세!’를 외쳤다는 이유로 퇴학을 당하고, 이후 독학으로 일본의 도시샤 대학을 거쳐 와세다 제일고등학원 러시아문학과에 들어간다. 동경 유학 시절 임화, 김남천 등과 함께 공산당 재건운동 준비기관인 ‘무산자사無産者社’를 설립하고 카프 기관지인 《예술운동》 대신 《무산자》를 간행하는 등 제3전선파로 적극 활동한다. 그는 1920년대 말 귀국하여 당 재건운동을 위해 계급문학운동에 가담하면서 예술운동의 정치적 진출을 꾀하기 위해 예술운동의 볼셰비키화를 내세우며 카프 조직을 기술자 조직(예술가 위주)으로 개편하기에 이른다. 이 조직 개편 때 안막은 중앙위원과 연극부 책임자로 선임되는 등 카프 조직의 주요 구성원으로 활동하였다.
안막은 일련의 비평을 통해 프롤레타리아 리얼리즘을 미학이론으로 한 예술운동의 볼셰비키화를 내세웠다. 이는 당시 사회주의운동을 문예운동상에서 드러낸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는 부르주아적 소부르주아적 예술을 반동적 성격으로 규정하고 이를 예술의 이론과 실천 양면 모두에서 극복해야 할 뿐 아니라, 프로문예 내에서도 속화되고 왜곡된 대중화론을 극복함으로써 진정한 마르크스주의적 예술비평의 기준을 확립해야 할 것을 강조하였다.
하지만 그는 1931년 최승희와의 결혼을 계기로 무용 공연 기획자와 매니저로 활동하게 되면서 문예 운동가로서의 꿈을 접고 최승희의 공연활동에 주력하게 된다. 일본, 중국을 비롯해 유럽과 미국, 남미 대륙에 걸친 세계 공연 활동을 통해 문화예술 기획자로 활동하던 안막은 해방을 맞이하면서 독립운동 동지들과 함께 평양으로 들어가 북한에서 다시 문예운동전선에 뛰어든다. 미국과 남한에 대한 극단적인 비판과 소련에 대한 찬양 등 문화예술기관의 책임자로 활동하던 그는 1958년 반당종파분자 혐의로 체포되며 소식이 단절된다. 이후 최승희 역시 딸 안성희에 의해 공개비판당하고, 연금 상태에 놓이는 등 사실상 모든 권력을 잃은 채 쓸쓸히 죽음을 맞이한다.
식민지 시기 급진적인 문예 비평가로, 최승희와의 결혼 이후 문화 기획자로의 변신, 다시 북한에서의 문예조직 책임자로의 활동까지 안막은 문화사 전반에 걸쳐 큰 족적을 남긴 인물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선집은 안막의 첫 자료집으로, 1930년대 프로문학의 방향 전환에 대한 연구 자료로 문학 연구자들에게 큰 보탬이 될 것이다.
* <한국문학의 재발견-작고문인선집>은 문학사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나 작품이 제대로 정리되어 있지 않은 작고문인들의 충실한 작품집을 발간하기 위해 기획된 시리즈이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후원하고 현대문학이 펴내는 이 총서는 앞으로 한국문학사의 가치를 정리·보존해 궁극적으로는 우리 문학의 위상을 확립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