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학의 재발견―작고문인선집〉을 펴내며
한국현대문학은 지난 백여 년 동안 상당한 문학적 축적을 이루었다. 한국의 근대사는 새로운 문학의 씨가 싹을 틔워 성장하고 좋은 결실을 맺기에는 너무나 가혹한 난세였지만, 한국현대문학은 많은 꽃을 피웠고 괄목할 만한 결실을 축적했다. 뿐만 아니라 스스로의 힘으로 시대정신과 문화의 중심에 서서 한편으로 시대의 어둠에 항거했고 또 한편으로는 시대의 아픔을 위무해왔다.
이제 한국현대문학사는 한눈으로 대중할 수 없는 당당하고 커다란 흐름이 되었다. 백여 년의 세월은 그것을 뒤돌아보는 것조차 점점 어렵게 만들며, 엄청난 양적인 팽창은 보존과 기억의 영역 밖으로 넘쳐나고 있다. 그리하여 문학사의 주류를 형성하는 일부 시인·작가들의 작품을 제외한 나머지 많은 문학적 유산들은 자칫 일실의 위험에 처해 있는 것처럼 보인다.
물론 문학사적 선택의 폭은 세월이 흐르면서 점점 좁아질 수밖에 없고, 보편적 의의를 지니지 못한 작품들은 망각의 뒤편으로 사라지는 것이 순리다. 그러나 아주 없어져서는 안 된다. 그것들은 그것들 나름대로 소중한 문학적 유물이다. 그것들은 미래의 새로운 문학의 씨앗을 품고 있을 수도 있고, 새로운 창조의 촉매 기능을 숨기고 있을 수도 있다. 단지 유의미한 과거라는 차원에서 그것들은 잘 정리되고 보존되어야 한다. 월북 작가들의 작품도 마찬가지이다. 기존 문학사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된 작가들을 주목하다보니 자연히 월북 작가들이 다수 포함되었다. 그러나 월북 작가들의 월북 후 작품들은 그것을 산출한 특수한 시대적 상황의 고려 위에서 분별 있게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당위적 인식이, 2006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문학소위원회에서 정식으로 논의되었다. 그 결과, 한국의 문화예술의 바탕을 공고히 하기 위한 공적 작업의 일환으로, 문학사의 변두리에 방치되어 있다시피 한 한국문학의 유산들을 체계적으로 정리, 보존하기로 결정되었다. 그리고 작업의 과정에서 새로운 의미나 새로운 자료가 재발견될 가능성도 예측되었다. 그러나 방대한 문학적 유산을 정리하고 보존하는 것은 시간과 경비와 품이 많이 드는 어려운 일이다. 최초로 이 선집을 구상하고 기획하고 실천에 옮겼던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위원들과 담당자들, 그리고 문학적 안목과 학문적 성실성을 갖고 참여해준 연구자들, 또 문학출판의 권위와 경륜을 바탕으로 출판을 맡아준 현대문학사가 있었기에 이 어려운 일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런 사업을 해낼 수 있을 만큼 우리의 문화적 역량이 성장했다는 뿌듯함도 느낀다.
<한국문학의 재발견―작고문인선집>은 한국현대문학의 내일을 위해서 한국현대문학의 어제를 잘 보관해둘 수 있는 공간으로서 마련된 것이다. 문인이나 문학연구자들뿐만 아니라 더 많은 사람들이 이 공간에서 시대를 달리하며 새로운 의미와 가치를 발견하기를 기대해본다.
2013년 4월
출판위원 김인환, 이숭원, 강진호, 김동식
제1부_초기 활동기
취인감허醉人?噓
창窓
산보와 산보술散步及散步術
우송雨頌
범생기凡生起
성북동천洞天의 월명月明
내가 꾸미는 여인
춘양독어春陽獨語
명명철학命名哲學
모송론母頌論
제2부_중기 활동기
권태예찬倦怠禮讚
문학열
독서술讀書術
경중영상鏡中映像
제야소감除夜所感
인생은 아름다운가?
여성미에 대하여
해동원解凍願
체루송涕淚頌 _ 눈물에 대한 향수
화제의 빈곤
나의 피서 안 가는 변辯
없는 고향 생각
문장의 도道
수필의 문학적 영역
매화찬梅花讚
망각의 변
장편대춘보掌篇待春譜
무형의 교훈
여행철학旅行哲學
사상과 행동 _ 참된 인간의 형성
비밀의 힘
문인과 직업의 문제
백설부白雪賦
생활의 향락
주중교우록酒中交友錄
종이송頌 _ 말하는 그리운 종이
주부송主婦頌
제3부_후기 활동기
시민전쟁
교양에 대하여
이식위천以食爲天의 설說
고독에 대하여
청빈에 대하여
문화 조선의 건설
의견에 대하여
병에 대하여
농민예찬
생활인의 철학
문화와 정치
이발사
건국의 길 _ 장단이 맞는 생활
행복
금전철학金錢哲學
송춘頌春
문학과 문명
인생에 대하여
해설_김진섭의 생애와 문학
■ 지은이 : 김진섭
1903년 8월 24일 목포시 남교동 135번지에서 태어났다. 호는 청천聽川. 감리서 관리인인 아버지를 따라 제주에서 보통학교를 다녔고, 1916년 상경하여 양정고등보통학교를 나왔다. 1921년 도쿄로 건너가 호세이대학 전문부 법과에 들어갔다가 1년 뒤 예과로 전과하였고, 1924년에 독문학과에 다시 입학했다. 이때 유학생들과 함께 해외문학연구회를 조직하고《해외문학》을 발행하였다. 대학 졸업 후 1928년부터 서울대 도서관 촉탁으로 근무했다. 1931년에 윤백남, 홍해성, 유치진 등과 극예술연구회를 조직하여 외국근대극을 번역·상영하였다. 1940년 경성중앙방송국에 입사했고, 해방 후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장 및 서울대학교, 성균관대학교 교수, 서울신문사 출판국장을 역임했다. 수필집으로 『인생예찬』,『생활인의 철학』,『교양의 문학』이 있다. 한국전쟁 초기에 납북된 후 생사불명이다. 1958년 박종화 주관으로 40여 편의 유고를 모은『청천 수필 평론집』이 발간되었다.
■ 엮은이 : 선안나
울산광역시 울주군에서 태어나고 자랐다. 국문학박사, 현대문학 전공. 1990년 새벗문학상을 수상하고 1991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동화 당선, 1996년에 아동문학평론지에 평론이 당선되었다. 서울산업대, 추계예대 등에서 강의했고, 단국대 초빙교수를 역임했다. 작품집으로『삼거리 점방』, 『너 나 우리』, 『온양이』등이 있으며, 평론집 『천의 얼굴을 가진 아동문학』, 『아동문학과 반공 이데올로기』를 펴냈다.
한국 현대문학사에서 수필을 본격문학으로 끌어올린 선구자, 일상성을 소재로 사상과 철학이 깃든 작품을 창작한 김진섭의 주옥같은 작품들! 우리나라에 수필의 명칭은 물론 개념조차 확실하지 않았던 시기에 한국 수필문학의 기반을 다진 대표적인 문인인 김진섭의 작품들을 묶은 『김진섭 선집』이 <한국문학의 재발견-작고문인선집> 시리즈의 하나로 현대문학에서 출간되었다. 그는 수필을 본격적으로 쓰기 전에는 도쿄에서 독문학을 공부하며 같은 유학생들과 함께 외국문학 관련 잡지를 발행하고 세계 여러 나라의 문학을 국내에 소개하는 등, 한국 번역 이론사상 특기할 만한 성과를 보여주기도 하였다. 귀국 후에는 사물의 겉모습뿐만 아니라 궁극적 이치까지 꼼꼼히 헤아린 수필들을 창작하며, 수필, 논설, 평론이 분화되지 않았던 시기에 각 분야의 분화와 재정립에 적지 않은 기여를 하였다. 이번 선집에는 김진섭의 작품 중 기존에 대표작으로 손꼽혀온 작품들 외에도, 미발표작과 해방 이후의 수필 등을 골고루 포함시켜 김진섭의 작품 세계를 보다 균형 있게 보여줄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청천 김진섭은 1903년 전남 목포 유달산 자락에서 부친 김만수와 모친 진성 이씨 사이의 4형제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김진섭이 7세 되던 해, 관직에 있던 부친이 제주 정의군에 부임함에 따라 제주도로 이주한 그는 정의보통학교에 입학하여 두 살 위의 형 영섭과 함께 학교를 다녔다. 10세 때 부친이 나주 군수로 부임하게 됨에 따라 다시 이사를 하여 나주동헌 자리인 군수사택에서 살게 되었다. 김진섭은 나주 보통학교를 마치고 2년을 보낸 뒤, 13세에 경성고보 재학 중인 형을 따라 상경하여 양정고등보통학교에 입학하였다. 1920년 양정고보를 졸업한 후 이유태 씨의 차녀 이수봉과 중매결혼하였고, 1921년 9월 도쿄로 건너가 호세이대학 전문부 법과에 들어갔다. 1년 뒤에는 예과로 전과하였고, 1924년에는 독문학과에 다시 입학하여 유학파들과 잡지를 만드는 등 다양한 문학 관련 활동을 펼쳤다. 대학 졸업 후에는 귀국하여 1928년부터 서울대 도서관 촉탁으로 근무했으며, 해방 후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장 및 서울대학교, 성균관대학교 교수, 서울신문사 출판국장을 역임했다. 한국전쟁 발발 후 납북되어 오늘날까지도 생사가 불분명하다.
김진섭의 수필은 사변적이고 난해하며 더러 고루할망정, 교활하거나 비루하지 않은 의연함이 있다. 그는 인생이 아름답지 않은 것을 일찍 간파했기에 오히려 인간답고 아름답게 살아가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필요함을 역설하였고, 생의 진정한 즐거움에 관해 논했으며, 스스로 세계를 기리고 찬하였다. 식민지시대의 지식인이자 문인으로서 초기 한국문단에 새긴 김진섭의 자취가 뚜렷함에도 불구하고 그가 오랜 시간 조명을 받지 못한 것은, 수필이 시와 소설에 비해 주류 장르가 아니다보니 상대적으로 소외된 데다, 납북 문인이라는 점이 작용한 까닭이 크다. 불우하고 궁핍한 시대를 건너며 글과 인격이 분리되지 않은 삶을 살고자 끊임없이 노력하였던 김진섭의 문학과 삶을 소개할 수 있는 장이 이제라도 열린 것은 매우 뜻 깊은 일이라 할 수 있다. 이 선집을 통해 좀 더 많은 사람들이 김진섭 수필의 맛과 힘을 느끼게 되기를 바란다.
* <한국문학의 재발견-작고문인선집>은 문학사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나 작품이 제대로 정리되어 있지 않은 작고문인들의 충실한 작품집을 발간하기 위해 기획된 시리즈이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후원하고 현대문학이 펴내는 이 총서는 앞으로 한국문학사의 가치를 정리·보존해 궁극적으로는 우리 문학의 위상을 확립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