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책에 대하여
핀, 문학을 잇고 문학을 조명하다
<현대문학 핀 시리즈> 첫 번째 컬렉션북 출간!
현대문학의 새로운 한국 문학 시리즈인 <현대문학 핀 시리즈>가 첫 선을 보인다. 2017년 7월호 월간 『현대문학』에서부터 시작된 이 시리즈는 당대 한국 문학의 가장 현대적이면서도 첨예한 작가들을 선정, 그들의 신작을 집중 조명하는 작가 특집란이다.
그동안 전통적 의미의 문학이 맞닥뜨린 위기 속에서 문학 작품을 향한 보다 다양해진 변화의 목소리 속에 『현대문학』이 내린 결론은 오히려 문학, 그 본질을 향한 집중이었다. 갈수록 줄어드는 문예지의 창작 지면을 오히려 대폭 늘려 시의 경우 신작 시와 테마가 있는 에세이를, 소설의 경우 중편 내지 경장편을 수록해 가장 『현대문학』다운 방식으로 독자 대중과 조금 더 깊게 만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했다. 작품을 통해 작가를 충분히 조명하는 취지의 <현대문학 핀 시리즈>는 이렇게 탄생하였다.
그 결과물로서 월간 『현대문학』 2017년 7월호부터 12월호까지 실린 시인 6인―박상순, 이장욱, 이기성, 김경후, 유계영, 양안다의 작품들을 시리즈의 신호탄이자 첫 번째 컬렉션북 『현대문학 핀 시리즈 VOL. Ⅰ』으로 가장 먼저 출간한다. 이는 현대문학의 새로운 시리즈의 출발점인 동시에 1955년 창간 이래 유수한 시인들을 배출해온 현대문학이 다시금 시인선을 출발시킨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더욱 크다. ‘핀pin’이란 주로 사물을 여미거나 연결하는 데 쓰는 뾰족한 물건을 의미이지만, 또는 꽃이나 웃음 등이 개화한 상태를 나타내기도 한다. 흔히 무대 위의 피사체나 세밀한 일부분을 특별히 강조하기 위해 쏘아주는 빛도 ‘핀’ 조명이라 하는데, 우리가 표방하는 ‘핀pin’은 이 모두를 함축하는, 정곡을 찌르는 의미라 할 수 있다.
『현대문학 핀 시리즈 VOL. Ⅰ』의 작가들은 단행본 발간과 동시에 여섯 명이 ‘한 시리즈’를 이루어 큐레이션된다. 현대문학이 새롭게 시작하는 시인선인 만큼, 개별 소시집이 이루어내는 성취는 그것 그대로 독자들에게 고스란히 전해지고, 에세이의 테마 선정과 표지화 아트 컬래버레이션을 동반한 개성적인 6권 세트는 서로 조응하는 다채로운 스펙트럼을 보여주는 세트로 독자들에게 문학을 향유할 수 있는 기쁨을 선사할 것이다.
문학과 독자를 이어주는 ‘핀’이 되려는 새로운 플랫폼 <현대문학 핀 시리즈>. 현대문학은 이 시리즈가 가지는 진지함이 ‘핀’이라는 단어의 섬세한 경쾌함과 아이러니하게 결합되기를 기대한다.
▲ 차례
PIN 001 박상순 시집 『밤이, 밤이, 밤이』
밤이, 밤이, 밤이 / 풀잎의 따님이 눈길을 걸었습니다 / 어떤 나무의 노래 / 무궁무진한 떨림, 무궁무진한 포옹 / 호박씨 까먹었음. 달빛은 없음. / 나의 프랑스 요리의 일요일 1 / 나의 프랑스 요리의 일요일 2 / 김은은 선생님은 바빠요 / 텅 빈 거리에는 비 내리고 / 빵공장으로 통하는 철도로부터 11년 뒤 / 빵공장으로 통하는 철도로부터 19년 뒤 / 내 들꽃은 죽음 / 내 들꽃이 바람 속에서 말한다 / 내 들꽃은 오늘 밤 푸르고 / 내 손에는 스물여섯 개의 기다림이 있어요 / 나의 해빙 전후 / 북극해의 의자에는 나를 닮은 닭 다리가 / 바지가 벗겨진 신발 / 나비 / 그녀의 외로운 엉덩이 / 두 사람 / 1. 네가 나를 처음 본 아침 / 2. 가자 / 3. 이곳이 / 4. 쿵 / 5. 불은 끄자 / 6. 하루 / 7. 햇빛 / 8. 입구 / 9. 겨울
에세이 : 그의 카페
PIN 002 이장욱 시집 『물입니다 무엇일까요』
원숭이의 시 / 생활 세계에서 춘천 가기 / 경복궁 / 비반영 / 추천사 / 세계의 우울 / 우울증에 걸린 액션 스타 / 독심 / 주거지에서의 죽음과 행정적 처리들 / 판교 / 미해결의 장/ 의상 / 도봉구의 대립 / 카프카는 먼 곳 / 옮긴이의 말 / 긍정적인 공기 속에서 밤의 귀가/ 무인 세계 / 중력의 소모 / 클리셰만으로 봄날은, / 사후의 일요일
에세이 : 동물원의 시
PIN 003 이기성 시집 『사라진 재의 아이』
청춘 / 감자를 보는 것 / 후회 / 겨울의 시 / 따귀 / 개와 여덟 개의 감정 / 생일 / 연인들 / 고기를 샀다 / 개의 나날 / 꿈과 같기를 / 속죄 / 물의 자장가 / 나비 / 접시에서 / 대화 / 잿빛 / 멀리 / 주정뱅이의 노래 / 고백
에세이 : 화염의 박물관
PIN 004 김경후 시집 『어느 새벽, 나는 리어왕이었지』
0원 / 거리의 리어왕 / 한도막 형식 / 붉은 두도막 형식 / 먹먹 / 비누 쪼가리 / 혀 / 모래집 / 이구아나 / 한밤중 / 닭장 / 팔월 / 우리는 달을 공유하는 사이 / 바늘 / 생일 케이크 / 접시 / 서정시 / 깊은 밤엔 두부를 / 외줄 곡예사 / 물병자리 아래서 / 상속자
에세이 : 매점과 시
PIN 005 유계영 시집 『이제는 순수를 말할 수 있을 것 같다』
언제 끝나는 돌림노래인 줄도 모르고 / 인과 / 한 점을 지나는 사람 / 버닝 후프 / 터틀넥 / 횡단 / 환상종 / 시리즈 / 영혼성 / 큐피드 / 드라마투르그 / 인그로운 / 북쪽으로 놓인 / 침대 / 접골원 / 썬 앤 문 / 조정 시간 / 불안을 전달하는 몇 가지 방식 중에서 / 토끼잠을 자는 우리를 / 헤어지는 기분 / 잘 도착
에세이 : 공장 지나도 공장
PIN 006 양안다 시집 『작은 미래의 책』
전주곡 / 비슷한 정서 / 오전 4시, 싱크로니시티, 구름 조금, 강수 확률 20% / 루저 내레이션 / 이상 기후는 세계의 조울증 / 오늘의 숲 / 처방 / 레몬 향을 쫓는 자들의 밀회 / 미열 / 펀치드렁크 드림 / 낮은음자리표 / 24일에서 25일로 / 조직력 / 이토록 작고 아름다운 (상) / 이토록 작고 아름다운 (중) / 이토록 작고 아름다운 (하) / 물고기의 비늘이 사실은 흉터였다면 / 컨티뉴어스 클라이밍 / 불가능한 질문 / 작은 미래의 책
에세이 : 극장에서 엔딩 크레딧
▲ 지은이
박상순
1962년 서울에서 태어나 1991년 『작가세계』로 등단했다. 시집 『6은 나무 7은 돌고래』 『마라나, 포르노 만화의 여주인공』 『Love Adagio』 『슬픈 감자 200그램』이 있으며 <현대시동인상> <현대문학상> <현대시작품상> <미당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이장욱
1968년 서울에서 태어나 1994년 『현대문학』으로 등단했다. 시집 『내 잠 속의 모래산』 『정오의 희망곡』 『생년월일』 『영원이 아니라서 가능한』이 있으며 <대산문학상>을 수상했다.
이기성
1966년 서울에서 태어나 1998년 『문학과사회』로 등단했다. 시집 『불쑥 내민 손』 『타일의 모든 것』 『채식주의자의 식탁』이 있으며 <현대문학상>을 수상했다.
김경후
1971년 서울에서 태어나 1998년 『현대문학』으로 등단했다. 시집 『그날 말이 돌아오지 않는다』 『열두 겹의 자정』 『오르간, 파이프, 선인장』이 있으며 <현대문학상>을 수상했다.
유계영
1985년 인천에서 태어나 2010년 『현대문학』으로 등단했다. 시집 『온갖 것들의 낮』이 있다.
양안다
1992년 충남 천안에서 태어나 2014년 『현대문학』으로 등단했다. 창작동인 ‘뿔’로 활동 중이다.
여섯 명의 시인, 여섯 권의 시집
무선 시집과 작가들의 친필사인이 담긴 한정판 양장세트 별도 발매
아트 컬래버레이션, 핀 라이브 등 다양한 특색들
반년간마다 새롭게 출간되는 <현대문학 핀 시리즈>의 2018년 상반기를 책임질 『현대문학 핀 시리즈 VOL. Ⅰ』의 시인들은 박상순, 이장욱, 이기성, 김경후, 유계영, 양안다 6인이다. 한국 시단의 든든한 허리를 이루는 중견부터 이제 막 첫 시집을 펴내는 신인에 이르기까지, 독자들은 『현대문학 핀 시리즈 VOL. Ⅰ』을 통해 현재 한국의 시의 현주소를 살피고 그 방향성을 짐작해볼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지면을 한꺼번에 만나게 되는 셈이다.
PIN 001 박상순 밤이, 밤이, 밤이
PIN 002 이장욱 동물입니다 무엇일까요
PIN 003 이기성 사라진 재의 아이
PIN 004 김경후 어느 새벽, 나는 리어왕이었지
PIN 005 유계영 이제는 순수를 말할 수 있을 것 같다
PIN 006 양안다 작은 미래의 책
‘여섯 시인의 여섯 권 신작 소시집’이라는 새로운 콘셉트만큼이나 시집의 판형이나 구성에도 차별화된 특색을 갖췄다. 가로 104밀리미터 세로 182밀리미터의 판형은 보통의 시집보다 가로 폭을 좁히고 휴대성을 극대화해 말 그대로 독자들의 손안에 ‘시가 쏙 들어오는’ 사이즈로 제작되었다. 시편이 끝나고 나오는 오른쪽 면은 여백으로 남겨 시와 시 사이의 숨을 고를 수 있도록 가독성 또한 높였다. 관행처럼 되어 있던 시집의 해설이나 작가의 말 대신 20여 편의 시편과 함께 같은 테마로 한 에세이를 수록한 것 또한 주목할 만할 점이다. 이번 6인의 시인들은 ‘공간’이라는 공통된 테마 아래 ‘카페’ ‘동물원’ ‘박물관’ ‘매점’ ‘공장’ ‘극장’이라는 각각 다른 장소들을 택해 써 내려간 에세이들이 시집 말미에 수록되어 시인 한 명 한 명의 개성을 선명히 드러내주고 있다.
『현대문학 핀 시리즈 VOL. Ⅰ』은 시리즈 론칭을 기념하여 6인 시인의 낭독회 행사와 함께 독자들에게 특별한 순간을 선사한다. 500질 한정으로 발매되는 6인 시인의 친필사인과 메시지가 담긴 양장본 세트(전 6권)가 그것이다. 일반 무선 제본으로 제작되는 낱권 소시집과 동시에 출간된다.
현대문학*ARTIST-정다운
현대문학 핀 시리즈의 특징 중 하나는 아티스트와의 협업으로 탄생된 시집 표지이다. 각각 개별의 시집이기도 하지만 하나의 미술 작품으로도 볼 수 있는 이번 VOL Ⅰ 시집들의 표지는 패브릭 드로잉 작가 정다운(b. 1987)의 작품들로 장식하게 되었다.
동덕여대 회화가 출신의 정다운 작가는 신진 시각예술작가를 발굴하기 위한 기획프로젝트 ‘2017 아티커버리(articovery)’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아 TOP 1로 선정되기도 했으며, 중국, 홍콩, 네덜란드 등 여러 나라에서 집중 조명을 받고 있다.
임의의 구성에서 우연의 결과를 얻고, 이렇게 반복되는 행위들은 규칙성을 갖고 하나의 화면을 완성하는 정다운 작가의 작업 방식은 한 권 한 권의 소시집이나 여섯 권 세트로 큐레이션되는 핀 시리즈와도 그 의미가 잘 맞는다고 볼 수 있다.
이에 우리의 첫 시리즈 시집 첫 번째 협업 아티스트로 정다운 작가를 선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