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준원의 소설집 『제인에게』가 현대문학에서 출간되었다. “감각적인 장면과 날렵한 전개”(박형서), “인물과 장면을 각인시키는 대사”(백지은)가 돋보인다는 평을 받으며 2018년 『현대문학』 신인추천으로 등단한 안준원이 6년 만에 내놓는 본격 첫 소설집이다. 이번 소설집에는 등단작 「백희」를 비롯해 표제작 「제인에게」, 미발표작 「반딧불이 사라지면」 등 6년이라는 시간을 톺아볼 수 있는 여덟 편의 단편이 실려 있다.
“과거의 일과 미래의 일”을 머릿속으로 오가며 “모든 일들이 서로 얽혀 있다는 느낌”을 받았으며 “상관관계를 해석할 수 없을 그 얽힘” 속에 “유일하게 해석 가능한” 것이 사람들을 향한 “마음”이라고 당선소감에서 밝혔던 작가는, 『제인에게』에 수록된 여덟 편의 이야기를 통해 바로 이 ‘사람’들과 ‘삶’을 이해해보고자 하는 마음, 그래서 연극과 글쓰기라는 매체를 통해 기꺼이 그 삶을 직접 살아보고자 하는 시도를 소설로 담아냈다. 누군가의 삶을 대신 살아본 뒤 그를 이해하게 되었을 때, 그 존재를 어떻게 사랑하지 않을 수가 있을까? 결국 이 이야기들은 사람을 온전히 이해함으로써 온전히 사랑해보고자 하는 다짐이라고도 할 수 있다.
“믿을 수 없지만
믿고 싶은 이야기가 시작되고 있다”
‘이해하고’, 또 ‘이해받고자’ 하는 간절한 마음
정교하고 때로는 섬뜩한, 시공간에 대한 새로운 감각
소설가면서 극작가이기도 한 안준원은 「작가의 말」에서 “사람을 사랑하는 방식을” 극단에서 배웠으며 “소설로 할 수 없는 것을 연극으로, 연극으로 할 수 없는 것을 소설로 하는 삶이” 가능하다면 좋겠다고 쓰고 있다. 이번 소설집에서 특히나 작가의 세계관이 잘 드러나 있는, 연극판을 소재로 하는 두 편의 연작소설 「은행나무는 그 자리에」와 「환한 조명 아래 우리는」은 소설을 쓰면서 동시에 연극을 하기도 한 작가가 직접 겪고, 또 바라본 사람과 삶에 대한 직접적인 이야기이다.
「은행나무는 그 자리에」의 ‘나’는 졸업을 앞두고 사회가 정한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는 데 반감을 느끼던 중 ‘연극 오퍼레이터’ 제의가 들어오자 냉큼 수락한다. 연극을 만드는 프로들 사이에서 자신이 “살아 있는 세계”에 속하게 됐다고 생각하며 그 생동감에 젖어 있었으나 어느 순간 연극판의 모든 것이 지지부진하고 부질없는 “제자리걸음”처럼 느껴진다. 결국 연극판을 떠나 글을 쓰기 시작하지만 ‘나’가 쓰는 글은 ‘희곡’이 아닌 ‘소설’이다. “혼자 하는 작업처럼 느껴지지 않”는 희곡과 달리, 소설은 “무언가를 이야기하”는 장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연극과 소설이 사람과 삶에 대한 애정에서 출발한다는 점에서는 같지만, “삶이 (연극) 무대라면 삶의 이야기는 소설이”라는 작가의 생각이 잘 드러나는 작품이다.
「환한 조명 아래 우리는」은 「은행나무는 그 자리에」의 극단 배우 중 한 명이었던 ‘환이 형’의 시점으로 전개된다. 무대에서 연기를 하던 중 뇌동맥류가 터져 쓰러지며 연극을 떠나 있던 ‘나’(‘환이 형’. 본명 ‘김덕훈’)는 재활에 성공해 ‘수미 누나’와의 이인극으로 복귀하게 된다. ‘수미 누나’와 합을 맞추며 갈등을 겪던 중 ‘나’는 “무대 위에서 한생을 보내야 할 상대 배우가 나를 끝내 이해해주지 못하리라는 것”, 누구에게도 이해받지 못하리라는 두려움에 직면한다. 단 한 명이라도 나를 이해해주었으면 하는 간절한 마음을 가지고 그 두려움으로부터 “도망”치고 싶어 하지만, 방법이 요원하다.
표제작 「제인에게」에서는 인류가 가상 세계로 들어가 살게 된 먼 미래, 사람들은 캡슐을 통해 뇌만 전송해 지내는 P월드에서의 삶을 낙원의 삶이라고 믿으며 살아가지만 ‘나’와 제인은 그 삶이 가짜에 불과하다며 자유지대로 향한다. 제인은 ‘나’에게 “사랑이 곧 이해고, 이해가 곧 사랑”이라고 매번 말했지만, 결국 “더 많은 것을 사랑하고자” ‘나’를 두고 집단의식의 세계인 M월드로 떠나버린다. 제인에게 메시지를 전하려고 하는 ‘나’는 M월드를 해킹하려고 시도 중인 ‘우루무치’에게 새로운 제안을 받고, 그 제안을 통해 우리가 다른 시공간을 품은 타인을 온전히 이해하는 방법이란 가짜라고 믿는 것조차 진짜처럼 믿는 일 정도라는 깨달음을 얻는다.
누군가를 온전히 사랑하는 일은 그 사람이 지나온 “온 시공간”을 포용하는 일이기도 하다. “시간을 대하는 독특하고도 정교하고” 시공간에 대한 “섬뜩한 정조”(박형서)가 돋보인다는 평을 받은 바 있듯, 『제인에게』는 수많은 시간과 공간이 겹치며 형성된 또 다른 시공간에 대한 비유가 가득하다. 사랑이라는 강렬한 체험이 우리를 전혀 다른 시공간으로 옮겨놓곤 하듯이, 여덟 편의 소설은 우리를 완전히 다른 시공간으로 데려다놓는다. “믿을 수 없지만 믿고 싶은” 이 이야기들을 따라 새로운 시공간으로 뛰어드는 일은 두렵지만 무척이나 설레는 일이기도 할 것이다. 노스탤지어 속에 미래가 공존하는 세계로의 탐험이라고나 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