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만 독자가 열광한
『회색 인간』 김동식 작가 첫 중편소설!
“그런 예감이 드네요. 저의 작가 인생 내내 ‘악마’란 존재를
주구장창 써먹을 것 같은 예감이요. 그러면 그게 악마와 계약한 거 아니겠습니까.”
_김동식(소설가)
당대 한국문학의 가장 현대적이면서도 첨예한 작가들과 함께하는 〈현대문학 핀 장르〉 시리즈의 일곱 번째, 김동식 작가의 『악마대학교』가 출간되었다. 『현대문학』 2024년 9월호에 실린 작품을 개작한 『악마대학교』는, 『회색 인간』으로 ‘초단편소설’ 붐을 일으키며 30만 독자를 열광시킨 김동식 작가의 첫 중편소설이다.
“묵직하게 우리들의 상식을 두들겨”(김봉석 대중문화평론가)대는 농담, “장르를 넘나드는 압도적인 상상력”(안국진 영화감독), “인간 본성의 면면으로 이루어진 루빅큐브를” 맞추듯 “믿고 있던 것을 의심하게 하고, 보고 싶지 않았던 것을 보게 하는 감각적 충격”(정세랑)이라는 평을 받아온 작가는 이번 신작에서 각각 사랑과 돈, 영생이라는 키워드로 ‘인간을 불행하게 하는 수법’을 연구하는 세 대학생 악마의 실험을 그려낸다. 악마보다 더 악마 같은 사람들이 넘쳐나는 지금, 인간을 파멸시키기 위해서는 악마가 오히려 “인간을 닮아가야 한다는 역설”(박인성)을 제시하며 우리가 지금껏 긍정해온 ‘인간성’이 과대평가된 것은 아니었을지 되묻는다.
데뷔 이후 1,000여 편이 넘는 소설을 발표하며 인간 본성에 대한 탐구를 이어온 7년, 그 성찰은 『악마대학교』에 와서 중편소설에 이를 만큼 깊어지며, 이 작품을 쓰면서 “‘악마’란 존재”에 대해 더 많은 이야기를 쓰게 될 것을 예감했다는 작가의 말과 함께 ‘김동식 월드’의 확장을 예고하고 있다.
악마대학교
작품해설 ♦ 박인성
악마는 당신의 욕망을 입는다
작가의 말
주물 공장에서 10년 넘게 일하다 2016년부터 온라인 커뮤니티에 올린 초단편소설들을 모아 2017년 소설집 『회색 인간』을 내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소설집 『세상에서 가장 약한 요괴』 『13일의 김남우』 『양심 고백』 『정말 미안하지만, 나는 아무렇지도 않았다』 『성공한 인생』 『하나의 인간, 인류의 하나』 『살인자의 정석』 『일주일 만에 사랑할 순 없다』 『문어』 『밸런스 게임』 『궤변 말하기 대회』 『청부살인 협동조합』 『인생 박물관』 『현실 온라인 게임』 『보그나르 주식회사』, 어린이 연작소설 『우주 학교』 『인생 게임 현실 상점』 『108요괴의 수염』, 단편소설 『백 명 버튼』을 썼고, 공포 앤솔러지 『망각의 도시』 등에 참여했다.
악마는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욕망에 욕망으로 답할 뿐
거대한 선과 거대한 악의 교차점,
인간을 진정 파멸로 이끈 것은 인간 자신의 의지!
『악마대학교』는 “지옥에 악마대학교가 존재”(「작가의 말」)한다면, 하는 단순한 상상으로 시작한다. 악마들도 학점을 따지고 취업 걱정을 한다면, 가장 ‘악마적인 수법’을 겨루는 것으로 졸업 후 진로가 결정된다면. ‘인간 욕망 동아리’ 소속 세 친구, ‘아블로’ ‘비델’, 그리고 ‘벨’은 중요한 발표를 앞두고 서로의 발표 주제를 점검한다. ‘아블로’는 게임처럼 짝사랑하는 대상을 공략할 수 있는 권능을 인간에게 부여함으로써, ‘비델’은 사람 목숨에 돈을 걸어 도박에 중독되게 함으로써 인간을 파멸에 이르게 하는 실험 영상을 보여준다. ‘벨’은 수업에 만년 지각하는 이른바 ‘낙제점 악마’이지만, ‘영생’으로 먼 옛날 진시황을 꾀어낸 대악마의 후손으로서 그 뒤를 잇는 악마임을 증명하고자, 교수에게 대놓고 면박을 당하고 친구들이 만류함에도 ‘영생’이라는 주제를 고집한다.
『악마대학교』 속 악마는 욕망에 욕망으로 답하며 그저 “인간의 양면적인 욕망을 가죽처럼 입”는 존재일 뿐이다. 작품의 마지막에 이르러 ‘벨’이 발표하는 ‘영생’은, “고전적인” “개념에서 나아가” 끝없는 과거 회귀에 갇히는 것이었다. 이는 소위 ‘회귀물’의 유행으로 미루어 짐작할 수 있는, “오늘날을 살아가는 우리의 보편적인 욕망을 겨냥”(박인성)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 지점에서 “사랑의 힘이 모든 것을 초월할 것”이라는, “딸이 죽은 그날은” “영혼에 각인돼” 기억이 지워져도 결국엔 떠올려낼 것이라는, 이전까지 긍정되어온 인간의 ‘의지’, 즉 ‘인간성’에 대한 우리의 믿음은 허물어지고 만다.
그러나 「작품해설」에서 짚어내듯이 “인간은 대단히도 어리석”지만 “어리석기에 다시 그보다 더 나아질 기회”가 있는 존재이기도 하다. 우리는 우리 인간의 가능성을 과신해 실수를 반복하며 “거대한 악으로 떨어”지기도 하지만, 우리의 선택으로 “가장 큰 선”(박인성)을 향해 가기도 한다. 자신의 의지로 파멸할 것인가, 빛으로 나아갈 것인가. 바로 이것이 『악마대학교』가 우리에게 남겨놓는 몫이다.